WHO와 종식 기준 논의...이르면 금주초 발표
지난 5월20일 첫 환자 확인으로 시작된 국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소강 국면에 접어들면서 정부가 언제 메르스 종식을 공식 선언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2일 국무총리실과 관계부처 등에 따르면 정부는 메르스 환자 발생이 중단된 날로부터 28일(4주)이 지난 시점을 '종식 공식 선언일'로 정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8일은 메르스 바이러스의 최대 잠복기다.
이 경우 마지막으로 환자가 발생한 지난 4일을 기점으로 4주가 지난 다음달 2일이 종식 선언 시점이 된다. 만약 환자가 또 발생한다면 시점은 늦어질 수 있다.
마지막 환자가 완치된 시점을 기준으로 종식 선언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환자에 따라 상태가 다르고 그만큼 예측 가능성이 떨어져 부정적인 견해가 많다.
보건복지부는 이미 세계보건기구(WHO)와 메르스 종식 기준에 대해 상당 부분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교안 국무총리도 지난 10일 '메르스 대응 범정부 대책회의'에서 처음으로 메르스 종식 시점에 대한 논의를 처음으로 공식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르면 이번주 초 공식적으로 메르스 종식 기준과 시점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발표는 메르스 대응 범정부 대책회의가 아닌 보건복지부에서 맡을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메르스 환자에 대한 관리가 잘 이뤄지고 추가 확산도 없을 경우 조기에 '사실상 종식'을 발표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사실상' 메르스가 종식됐다고 발표하는 것은 공식적인 선언은 아니지만 더 이상 확산의 우려가 없는 만큼 이제는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와도 된다고 호소하는 의미를 지닌다.
특히 대외적으로 경기 위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 관광객을 유치하고 경제 성장의 엔진을 재점화하겠다는 선언적 의미가 있다.
지난달 18일 취임 첫 날부터 황 총리가 매일 같이 주재해 온 메르스 범정부 대책회의를 13일부터는 보건복지부 장관 주재 일일 대책회의로 그 급을 낮추기로 한 것도 이 같은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참석자도 총리와 각 부처 장관에서 복지부 장관과 관계부처 차관으로 낮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