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국 "당론이라니까" 이정현 "보완 말도 못해?"
최고중진연석회의서 오픈프라이머리 놓고 미묘한 신경전
새누리당 비박계 의원인 정병국 의원과 친박계 의원인 이정현 의원이 19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를 놓고 미묘한 신경전을 펼쳤다.
정 의원은 당론으로 정해진 안에 대해 반대하면 안된다고 주장했고 이 의원은 계파 갈등이 아니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보안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 의원은 먼저 "어떤 제도도 완벽한 제도는 없다"며 "우리 모두가 동의한 제도를 현실에 적용하기 어렵다고 해서 반대해선 안된다"고 친박계의 오픈프라이머리 회의론을 반박했다.
정 의원의 이같은 언급은 최근 친박계를 중심으로 오픈프라이머리에 "현실성이 없다"는 부정적 언급이 쏟아지고 있는데 대한 반격 차원인 것으로 풀이된다.
정 의원은 특히 "한국정치는 정치적 이념보다는 지역정치를 중심으로 인물정치, 보스정치, 계파정치가 이끌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그러다보니 진영논리가 생기고 반대를 위한 반대를 통해 갈등을 유발해왔다"고 발언했다.
이어 "선거때만 되면 계파간 대결을 하다보니 공천학살이란 말이 나오게됐다"며 "그러다보니 공천권을 가진 보스만을 바라보는 왜곡된 정치, 국민은 안중에도 없는 정치를 해서 정치가 국민 신뢰를 상실하게 되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공천권이 국민에게 가면 당권 경쟁, 계파정치에 몰입 할 필요가 없다"며 "정치를 발전시켜 민주주의 원칙을 지키고 정치인은 소신을 가지고 국민만 바라보는 정치를 하게 되는 것"이라고 오픈프라이머리의 당위성을 설파했다.
이런 정 의원의 비판에 대해 이 최고위원은 "계파 싸움으로 보는 시각은 오해"라고 밝혔다. 다만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으니 이에 대해 보완하자는 의견을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최고위원은 "오픈프라이머리는 19대 총선 당시 당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하에서 (박근혜) 비대위원장을 포함한 당에서 공식적으로 제안했던 일"이라며 "그러나 야당이 받아들이지 않아 당시 실행을 못하고 넘어갔을 뿐, 당내에선 오픈프라이머리에 의견이 다 일치됐었다"고 말했다.
이 최고위원은 "새누리당과 야당 일부가 여론조사든 주민참여든 방식으로 전면적으로는 아니지만 다양한 형태로 상향식 공천을 해왔다"며 "따라서 지금 새누리당에서 누가 오픈프라이머리를 완전히 반대한다는 말 자체가 성립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최고위원은 그러면서도 "다만 전면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할 경우 역선택, 저조한 참여율 등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모든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최고위원은 "그런 문제점을 최소화할 방법을 연구해야한다는 문제제기를 무슨 계파 싸움이라고 할 수 있느냐"며 "함께 고민해서 해결 방법을 최소화하자는 문제제기는 얼마든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 최고위원은 "문제들을 보완하자는 의견을 얘기하면 안되느냐. 이 정도는 누구든 할 수 있는 얘기고 총선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정기국회를 겪으며 바쁘기 때문에 문제점을 사전 보완하자는 건 충분히 논의할 수 있다"며 "계파 간 대결, 당내 분열식으로 보는 시각에 신중을 기해야한다"고 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