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장검사 1명씩 각부에 추가 투입해 2팀장 체제로
검찰이 서울중앙지검 특수부를 팀 체제로 개편하고 내달부터 부서간 합동 수사체계를 가동할 전망이다. 검찰의 이 같은 조치는 지난 2013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폐지 후 특별수사가 약화된다는 우려 때문이다.
경향 보도에 따르면 검찰 관계자는 지난 26일 "서울중앙지검 특수 1~4부를 각각 2개팀으로 개편해 운영할 예정"이라며 "각 팀장은 부부장급 검사가 담당하게 된다"고 계획을 밝혔다. 이어 "체제 개편은 단발성이 아니라 내년 이후까지도 염두에 둔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서울중앙지검 각 특수부는 부장검사와 부부장검사가 각 1명씩 그리고 평검사가 4~5명으로 이뤄져 있는 체제다. 여기에 부부장검사 1명씩을 각부에 추가로 투입해 기존 부부장검사와 함께 2팀장 체제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서울중앙지검은 4개 특수부 산하 8개 '특수팀'을 보유하게 돼 팀단위 협업이 가능해지고 조직의 유연성이 높아지면 인력을 필요에 맞게 차출해 특정 수사에 집중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다른 검찰 관계자는 “특별수사팀을 꾸리지 않는 한 특수부는 다른 부 인력 1~2명을 충원하는 것 외엔 제한된 인력으로 수사에 임할 수밖에 없었다”면서 “팀 체제로 개편되면 최근 지지부진했던 검찰 수사도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러한 조치는 검찰 특수부 수사력이 저하됐다는 안팎의 지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3년 4월에 폐지된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의 강점은 필요인력 차출과 집중 수사가 가능했지만 현재 검찰의 수사는 특수부라는 칸막이에 실력을 발휘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일례로 6개월째 진행 중이지만 핵심 경영진은 제대로 조사도 못한 포스코그룹의 수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