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노사정 협상만 기다리고 있을 수 없다"
기재부·산자부·노동부, 노동개혁 입장 발표…"입법절차 진행"
정부는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위한 노사정 대타협이 무산된 것과 관련 초강수를 뒀다. 여당과 함께 노동개혁 법안 입법을 추진하는 등 사실상 노사정 합의와는 별도로 노동개혁에 착수하기로 한 것.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과 함께 ‘노동개혁 향후 추진방향’에 대한 입장발표에서 이같이 말했다.
최 부총리는 전날 노사정 대타협이 무산된 것에 대해 “실망감을 감출 수 없다”면서 “정부는 그간 노사정 논의를 토대로 노동개혁 법안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다음주부터 새누리당과 당정협의를 통해 노동개혁 입법 절차를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최 부총리는 “노동개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고 거듭 강조하며 임금피크제와 취업규칙 변경, 해고기준 마련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임금피크제 도입과 업무 부적응자에 대한 공정한 해고를 위한 기준과 절차는 반드시 노동개혁에 포함돼야 한다”며 “그래야 근로자들이 능력과 성과에 따라 보상받아 재도전의 기회를 부여 받을 수 있고, 기업은 정규직 채용을 늘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고임금을 받는 대기업 정규직 노조들의 무리한 임금인상 요구와 파업행위는 자제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