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신임 강행 '비노' 부글부글 "문재인 위한 '1당' 전락"
주승용 "정말 이렇게 정치해도 되나 회의감" 이종걸 "국감도 포기하는 행동"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자신에 대한 재신임 투표를 13일부터 15일까지 하는 안을 제안한 가운데 지도부를 포함한 야당 내 후폭풍이 엄청난 모양새다.
김성수 대변인은 11일 브리핑을 통해 문 대표에 대한 재신임 방법이 이같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문 대표는 이날 오전 확대간부회의에서 이같은 안을 제시했고, 계파를 초월한 대부분의 최고위원들은 반대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이후 자신의 SNS에 글을 통해 "심정이다. 정말 이렇게 정치를 해도 되는 것인지, 회의감이 밀려온다"며 "그래도 명색이 제1야당의 최고위원인데, 아무 것도 결정할 권한이 없고, 그저 당대표의 결정에 들러리를 서는 역할만 강요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주 최고위원은 "이것이 진정으로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께서 그토록 지키고자 했던 정당민주주의인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라며 "결과적으로 지금 우리당은 '문재인의, 문재인에 의한, 문재인을 위한 1당'으로 전락하고 말았다"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언론을 통해 그 소식을 듣고, 저는 일단 문 대표의 개인적 결단은 존중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오판했다"고 답답함을 표했다.
평소 문 대표 진영에 서던 오영식 최고위원도 최고위 직전 사전회의 때 "지도부와 상의없이 재신임을 결정했다"고 문 대표를 비판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 최고위원은 그 자리에서 "문 대표의 기습적인 투표 제안으로 국감 정국이 망가진 것은 물론 당이 급격한 혼란에 빠졌다"고 지격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공개회의 말미에 "지도부가 들러리만 서는 것인지 자괴감을 느낀다"며 끝까지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유승희 최고위원도 "재신임을 혁신안과 연계하고 또 당의 기강과 연계함으로써 오히려 당내 갈등을 격화시키는 측면이 있지 않나 우려스럽다"며 "재신임의 결론이 어떻게 나든 당의 단합보다 분열을 더 초래할 수 있다는 의원·당원의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재신임 방식, 조기 전당대회 등의 논의는 우선 혁신안을 놓고 자유로운 토론을 해 마무리짓고 난 뒤 공식적인 통로를 통해 의견을 모아 하는 게 좋겠다"며 "혁신안에 대해 조금이라도 다른 의견을 제시하면 당 분열로 몰아붙이지 말고 토론을 통해 보다 좋은 혁신안을 만들 수 있는 과정을 갖고, 그 이후 재신임 문제를 논의하자"고 덧붙였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국정감사는 야당의 보물이고, 1년 농사인데 스스로 포기하는 듯한 행동은 과감히 자제돼야 한다"며 "당내 문제가 당의 생명과 같은 혁신에 관한 문제라도 이번 국감에 전념함으로써 뒤로 양보하는 게 좋겠고 나도 그렇게 하겠다"고 가세했다.
한편, 새정치연합은 '전 당원 투표 및 국민여론조사 관리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장은 4선의 신기남 의원이 맡으며, 위원으로는 설훈·김관영·전정희·진성준 의원이 포함됐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