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삼성 직업병 조정위, 조정당사자들에 간담회 제의


입력 2015.09.17 11:41 수정 2015.09.17 17:21        이홍석 기자

"보상방식과 재발방지대책, 향후 조정절차 조율하자"

다음주 중 비공개 간담회 이뤄질 전망

지난 7월 23일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법무법인 지평 사무실에서 열린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장에서의 백혈병 등 질환 발병과 관련한 문제 해결을 위한 조정위원회'에서 대법관 출신 김지형 조정위원장(오른쪽에서 두 번째)이 조정 권고안을 발표하고 있다. ⓒ데일리안
삼성전자가 백혈병 문제 해법을 위해 출범한 보상위원회에 대해 찬반 양론이 교차하고 있는 가운데 조정위원회(이하 조정위)가 당사자간 원만한 조정을 위해 비공개 간담회를 제안했다.

조정위는 17일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삼성전자의 보상위원회 보상 방식을 비롯, 재발방지대책 및 사과에 대한 향후 조정절차 등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하기 위해 간담회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조정위는 이 날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7월23일 조정권고안을 제안한 이후 최근 삼성전자가 보상위원회 보상 방식을 제시했으나 찬반양론으로 사회적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원만한 진행을 위해 조정당사자 교섭단 모두가 참석하는 간담회를 개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15일 조정당사자들에게 통지했다고 말했다. 18일부터 24일까지 중 4개의 옵션을 제시했으며 가능한 일시를 알려주면 이를 조정해 최종 확정 통보하겠다고 덧붙였다.

조정위의 제안에 따라 기존 조정당사자였던 삼성전자·반올림(반도체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삼성직업병피해자가족대책위원회(가대위) 등은 조만간 비공개 간담회를 통해 보상에 대한 입장 차이를 조율하고 사과와 재발방지대책 등에 대한 의견도 교환할 전망이다.

조정위의 이번 제안은 그동안 문제 해결을 위해 수행해 온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지속하기 위한 의지의 표현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의 주도로 출범한 보상위원회가 활동을 시작하면서 상대적으로 옅어지는 존재감을 강화하고 조정 주도권을 계속 유지하기 위한 포석도 깔려 있다.

조정위 관계자는 "조정당사자들간의 이견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각 당사자들의 의견을 직접 청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반올림과 가대위에 속해 있지 않은 다른 피해자들의 의견을 어떻게 반영할지에 대해서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3일 '반도체 백혈병 문제 해결을 위한 보상위원회'를 발족하고 지난 16일 본격적인 활동에 착수했다.

사내기금으로 1000억원을 조성하고 노동법, 산업의학, 사회정책 등 관련분야 전문가 위원 4명과 가족대책위원회 대리인, 회사 측과 근로자 대표 등 7명으로 구성해 발병자와 피해자 가족들의 요구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

삼성전자는 보상위원회를 통한 보상 준비를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는 한편 조정위 간담회에도 참석해 이를 적극 설명한다는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조만간 가능한 날짜를 통보할 계획"이라며 "조정위와 조정당사자들에게 보상위의 진의와 의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반올림을 포함한 일부 단체는 삼성전자가 자체적으로 보상위를 꾸리고 보상을 하는 것에 반발하고 있다. 반올림은 지난 7일 보상위 출범을 반대하는 집회를 가진데 이어 오는 18일에는 외신기자 초청 간담회를 갖는 등 반대 목소리를 높이며 아예 등을 돌린 상태다.

또 협상의 다른 한 축인 가대위는 보상위 참여를 결정했지만 일부 회원이 이에 반대하면서 내분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보상위가 가장 신속한 문제 해결 방안이라는 데 의견을 모으고 참여를 결정했지만 간사를 맡아온 정애정 씨는 이에 반발하며 이미 지난 9일부터 무기한 농성에 들어간 상태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