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세월호특조위 별정공무원 공개하라" 청원서 제출
세월호 특조위 앞에서 1인시위 "선박 전문가 없다는 것 국민들 이해 힘들어"
보수시민단체가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측에 지난 7월 중순 채용된 별정직 공무원 31명에 대한 명단 공개를 요청하는 청원서를 21일 제출했다.
이날 김순희 ‘교육과 학교를 위한 학부모연합’ 상임대표는 4.16세월호참사 13차 특별조사위원회 전원회의를 앞두고 특조위 사무실을 찾아 “조사의 최일선에 나서는 민간인 출신 직원 가운데 선박 전문가가 없다는 점은 국민들이 이해하하기 힘든 점”이라면서 청원서를 제출했다.
이에 앞서 특조위 건물 앞에서는 “전문가 하나 없이 민변·사회단체·운동권 출신들로 채워진 세월호 특조위 각성하라”는 내용의 피켓을 들고 1인 시위를 벌였다. 세월호 특조위 전원회의를 앞두고 비전문가들로 채워진 특조위 별정직 공무원에 대한 비판시위를 벌인 것이다.
김순희 대표는 이날 ‘데일리안’에 “전체 채용자 31명 가운데 선박 전문가는 한명도 없는 것은 물론 서류 통과자 가운데 선박·해영 경력자 3명은 면접과정에서 탈락했다”면서 “재난전문가를 비롯해 조사 경력이 있던 전문가들이 탈락했는데, 세월호 국민대책회의에서 활동한 인사도 조사 담당으로 최종 합격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특조위는 국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만큼 그 구성원에 대해 국민들은 알 권리가 충분히 있다“면서 ”세월호 특조위는 별정직 공무원 31명을 공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특조위 측은 청원서 성격의 내용이라 특조위 측에서 정보공개를 할 의무는 아니라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31명 별정직 공무원들의 명단을 제공하려면 청원이 아닌 정보공개 청구를 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이날 열린 세월호 특조위 전원회의에서는 심의·의결안 7건과 보고안건 1건이 다뤄졌다.
상정된 심의·의결안 가운데 하나인 ‘미수습 가족들의 배보상지급 신청기한 연장을 위한 법개정 촉구 결의안’은 일부 반대 의견이 있었지만 통과됐다.
다만 결의안의 문구와 관련, 황전원 비상임위원은 “촉구자체에 대해 찬성하지만 문안의 ‘그들은 살아서 구제되지 못하고’ 등으로 미수습자들을 이미 사망자로 표현한 부분에 대해서는 삭제를 요청한다”면서 “굳이 특조위에서 결의안을 내는데 미수습자들이 사망했다고 단정적으로 표현하는 부분을 사용할 필요가 있나 싶다”고 말했다.
이에 김선혜 특조위 지원소위원장은 “황 위원의 말이 맞는 부분이 있지만 이미 미수습자 가족들은 지원소위 측에서 만나는 과정에서 미수습자들이 살 가능성이 없다는 견해를 내비쳐서 문안을 그렇게 표현 한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