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한국인 소시지·햄 섭취량 우려 수준 아니다"
"한국인 가공육·적색육 섭취량, 해외 권장량 이하" 공식발표
세계보건기구(WHO)가 소시지를 발암물질로 지정한 것을 두고 논란이 지속되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우리 국민들의 가공육과 적색육 섭취량이 우려할 정도가 아니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식약처는 2일 충북 청주시 오송 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국민의 가공육과 적색육 섭취 실태, 외국의 관련 권장 기준, WHO 발표 내용, 육류의 영양학적 가치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이같은 판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2010~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한 결과 우리 국민의 가공육 섭취량은 1일평균 6.0g 수준"이라며 "매일 가공육 50g 섭취시 암 발생률이 18% 증가한다는 WHO 발표 내용을 참고하면 우리 국민의 가공육 섭취 수준은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고 말했다.
적색육 섭취와 관련해서도 식약처는 걱정할 수준이 아니라고 밝혔다. 식약처는 "WHO는 매일 100g 섭취시 암 발생률이 17% 증가한다고 발표했는데, 한국인의 가공육 하루 섭취량은 61.5g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고려하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
다만 식약처는 "적색육 섭취가 상대적으로 많은 성인 남성과 가공육 섭취가 상대적으로 많은 성장기 청소년의 경우 채소 등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고 적당한 운동과 균형있는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한편,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각) 햄, 소시지 등의 가공육을 1군 발암물질로 분류했다. 1군 발암물질은 암을 유발한다는 근거가 확실한 경우에 해당한다. 담배나 석면 역시 1군 발암물질이다.
이와 함께 WHO는 쇠고기, 돼지고기, 염소고기, 양고기 등 붉은색을 띠는 적색육에 대해서도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과 함께 2A군의 발암 위험물질에 포함시켰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