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문재인·안철수 김한길 '손잡고' 농성 이어가


입력 2015.11.03 12:08 수정 2015.11.03 14:13        이슬기 기자

조광 고려대 교수 "국정교과서 주장, 역사적 사건과 해석을 혼동하는 것"

교육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를 하루 앞둔 2일 저녁 국회 본청 로텐더홀에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이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철야농성을 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정부가 3일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확정고시한 가운데, 새정치민주연합은 각 상임위별로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국정교과서 반대 농성을 이어가기로 했다.

이날 새정치연합은 전날에 이어 오전부터 국회 로텐더홀에서 밤샘 농성을 진행하고, 의원총회와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향후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한 뒤, 정오부터 상임위 소속 의원별로 2시간씩 반대 농성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문재인 대표는 이날 의총에서 결연한 표정으로 “절대다수의 여론도 무시하고 행정절차도 위반하며 강행하는 것이 바로 독재”라며 “역사 국정교과서는 독재를 미화하는 교과서일 뿐 아니라 그 교과서 자체가 독재다. 역사국정교과서는 자유민주주의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국정교과서를 하는 나라는 없다. 국정교과서는 나치독일과 군국주의 일본과 유신독재 정권이 했던 제도이고 지금 북한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우리당은 이 무도한 독재세력과 끝까지 맞서서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겠다”며 “우리당은 국민들과 함께 역사 국정교과서를 기필코 막아내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의총 직후 새정치연합은 조광 고려대 명예교수를 초청해 국정교과서의 문제점에 대한 강연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조 교수는 “역사란 시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기 마련이다. 사건은 불변하기 때문에 다시 고칠 필요가 없지만, 해석은 시대정신에 따라 언제나 바뀔 수 있는 것”이라며 “국사교과서 국정화를 주장하는 사람들의 경우, ‘사건’과 ‘해석’을 혼동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같은 예로 ‘건국절 파동’을 언급한 뒤 “북한은 당시 이어받을 국가가 없었기 때문에 ‘건국’이라고 표현한 반면, 대한민국의 경우 자랑스러운 임시정부를 잇는다는 전통이 있었기에 ‘정부수립’이라고 표현할 수 있던 것”이라며 “당시 공식용어가 정부수립이지 건국은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 정부수립이 아니라 건국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그들의 ‘해석’이지, 그걸 역사적 사실로 바꾸려는 게 건국절 파동이었다고 본다”며 “해석은 해석으로 남아야지, 해석이 역사적 사실로 둔갑된다면 그건 결고 올바른 역사 해석이라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경제학·윤리학 등 비(非)역사계가 교과서 집필에 관여해야한다는 일부의 주장에 대해선 “짧은 시간 내 교과서를 편찬하려면 아마 사람이 적기 때문에 인접 학문에서 사람을 빌려오는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그러나 이는 국사의 의미를 ‘국민윤리’로 바꿔버리려는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유신시대때는 국사가 국정화되고 국민윤리 교육이 있었다. 국민윤리교육은 유신에 정당성을 주는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문 대표는 정부의 확정고시 강행 후 역사학계의 대응방안을 물었고, 이에 조 교수는 “국정화라는 파행적 현상이 일어날 수 없다는 믿음들을 그동안 갖고 있었기 때문에 아직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지는 않을 것으로 알고있다”면서도 “실제 고시를 강행하면, 불복종 운동 일어날 거다. 실제 집필 거부를 할 것이고, 역사교육 현장과 연결을 해서 대안교과서까지는 아니더라도 국정교과서가 가진 문제점을 학생들에게 알려주도록 캠페인 등이 전개될 수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조 교수는 그러면서 “내가 정년(퇴임)을 한지 6년이 됐는데, 어제 길거리로 나가서 국정화에 반대했다. 참 비참한 일”이라며 “그렇지만 국정화만은 막아야 하기 때문에, 만약 국정화가 강행되면 나는 중학교라도 가서 강의라도 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