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새정치, 국정교과서 농성 접고 9일 국회 정상화


입력 2015.11.06 16:09 수정 2015.11.06 16:09        이슬기 기자

"장기전으로 가려면 병행투쟁 필요...시작때부터 한시적이라 생각"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가 6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굳은 표정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6일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문화제를 끝으로 국회 농성을 접고 오는 9일부터 국회 일정을 정상화하기로 했다. 지난 2일 저녁 국회 로텐더홀에서 밤샘 농성에 돌입한 직후 당 안팎으로 '농성 회의론'이 제기되며 논란을 빚은지 닷새만이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비공개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민생 우선을 위해 오늘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문화제에 참석한 이후 농성을 해제한다”며 “오는 9일부터 국회 모든 일정을 정상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정부·여당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강행을 포기할때까지 모든 방법을 동원해 끝까지 저지하기로 했다”며 장기전으로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농성 해제 배경과 관련해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우리가 농성을 시작할때 사실 그 자체가 한시적이라는 인식을 했다”며 “확정고시 결정이 이뤄지기 전에 농성을 시작했고, 우리의 요구에 아랑곳하지 않고 정부가 강행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장기적인 투쟁을 위해선 원내외 병행투쟁으로 전환시킬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 수석은 이어 “효율적인 투쟁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앞으로는 외부 규탄 집회나 입법청원에 대한 서명운동 또는 역사강좌 등을 진행하고, 국회 안에서는 최종적으로 국정화 저지를 위한 구체적 논의를 하자는 합의가 있었다”며 “오늘 의총에서 이 부분에 대해 의원들이 만장일치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향후 구체적인 국회 일정에 대해선 “국회가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한 기간 동안 (새누리당이) 일방적으로 진행한 예결위 종합심사, 부별심사는 절대 인정할 수 없다”며 “일방적으로 진행된 부분에 대해서는 다시 여야 협상을 통해 그 기간을 보장받고, 예산이 어떻게 쓰여야 할지 다시 질의하겠다”고 말했다. 또 국정교과서 추진과정에서 논란이 된 예비비 문제와 관련한 대정부질의도 예고했다.

이밖에도 국회 파행 과정에서 연기된 해수부장관 및 국토부장관 인사청문회의 경우, 여야 간 합의가 되는대로 이른 시일 안에 진행할 것이라며 “양측 간 합의가 되면 월요일에라도 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이 수석은 “어제와 오늘 여야 원내 수석이 주요 내용에 대한 협상을 진행했지만, 새누리당 조원진 수석은 합의가 거의 다 이뤄졌다 하는데 그건 본인 판단일 뿐”이라며 “우리는 거기에 동의할 수 없고, 그만큼의 진전은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여야 원내대표단은 오는 8일 오후 3시에 회동을 열고, 앞서 두 차례에 걸친 원내수석부대표 간 오갔던 협의 사항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