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레이더체계 기술 세계12위…AESA 개발 난항"
기품원 ‘국방과학기술 수준조사서’발표, 우리나라 수준 평균 이하
우리 군의 레이더체계 기술 수준이 세계 12위인 것으로 분석돼 한국형 전투기(KF-X)에 탑재할 다기능위상배열(AESA) 레이더 개발에 난항이 보인다.
2일 국방기술품질원(기품원)이 발간한 ‘국방과학기술 수준조사서’에는 각국의 무기체계별 기술 수준을 분석해 평가한 내용이 실렸다.
이 책자에서는 선진국들의 AESA 레이더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나라와 선진국과의 기술 수준 격차가 지난 2012년보다 더 벌어진 것으로 평가됐다.
우리나라 레이더체계는 선진국 기술 수준의 78%로 12위, 고성능 영상레이더(SAR)체계는 76%로 12위, 전자광학(EO)/적외선장비(IR)체계는 79%로 11위로 평가됐다. 이는 전체 국방과학기술 수준 평균인 세계 9위보다 낮은 수치로 캐나다, 인도, 스페인, 남아공 등과 비슷한 수준이다.
기품원은 "우리나라는 지상용 수동위상배열 다기능 레이더와 지상, 함정용 선형 능동위상배열 다기능 레이더 등을 국내 개발 완료했다"며 "선진국 수준의 레이더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지만 최고선진국은 첨단 성능의 능동위상배열 레이더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어 2012년과 비교해 최고선진국과 격차는 벌어졌다"고 평가했다.
이번 조사에서 주요 16개국 가운데 국방과학기술의 전반적인 수준 1위는 미국이었고 프랑스가 2위, 러시아가 3위였다. 그 뒤로 독일, 영국, 일본, 중국, 이스라엘, 한국과 이탈리아 순이었다.
미국의 국방과학기술 수준을 100라고로 할 때 한국은 81%로 측정됐다. 프랑스가 91%, 러시아는 90%, 독일은 90%로 90% 이상인 최선진권으로 분류됐고, 영국이 89%, 일본은 84%, 중국은 84%, 이스라엘은 84%로 한국, 이탈리아, 스웨덴과 함께 80%대인 선진권에 포함됐다.
기품원 발간하는 국방과학기술수준 평가서는 3년마다 세계 주요국의 국방과학기술 수준을 평가한 결과가 기록돼 합참과 육·해·공군 등에 배포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