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무관' 롯데의 따뜻한 겨울, 결실 언제쯤?
손승락-윤길현 영입하며 모처럼 거액 투자
4~5선발진과 외야 교통정리 나선다면 전력 완성
롯데 자이언츠가 오랜만에 따뜻한 겨울을 보내고 있다.
몇 년간 잡음이 끊이지 않았던 흐름을 바꿔 성공적인 스토브리그를 보냈다는 평가가 다수다. 무엇보다 과감하면서도 효율적인 투자가 돋보였다.
내부 FA인 선발투수 송승준을 잔류시켰고 외부 FA로 윤길현(4년 38억)-손승락(4년 60억)이라는 검증된 최상급 불펜 자원들을 영입하면서 마운드를 확실히 보강했다. 가장 큰 고민이었던 불펜이 다음 시즌 롯데의 최대 강점으로 거듭날 수 있을만한 영입이었다.
FA 시장에서 롯데가 투자한 금액은 약 138억. 알려진 것보다 금액을 축소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휩싸이기도 했지만 최근 FA시장의 과열된 분위기를 감안했을 때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에 최상의 투자를 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그동안 FA시장 때마다 소극적인 모습으로 대어들을 놓치거나 기존 자원들을 다른팀에 빼앗기기 일쑤였던 과거와는 확연히 달라졌다.
롯데는 이밖에도 몇 차례 효율적인 영입을 단행했다. 2차 드래프트에서는 외야수 박헌도를 영입했다. 심수창의 FA 보상 선수로 투수 박한길을 영입했다. 게다가 한화에서 자유로운 몸이 된 투수 최영환도 데려왔다.
젊은 선수들의 영입은 노쇠화되고 있는 기존 투수 자원들을 장기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포석이다. 롯데가 당장의 성적 뿐 아니라 미래까지 염두에 둔 세대교체를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에 롯데는 메이저리그 진출을 타진하던 손아섭과 황재균이 모두 잔류했다.
선수 입장에서는 비록 포스팅 무응찰이라는 아픔을 겪기도 했지만 그만큼 다음 시즌에 대한 확실한 동기부여도 안게 됐다. 롯데는 한 시즌 2명의 선수가 동시에 메이저리그 진출을 시도하는 돌발적인 상황 속에서도 비교적 현명하게 교통정리에 성공했고, 선수들의 해외진출을 최대한 지원하는 모양새를 취하면서도 결과적으로는 둘 다 잔류에 성공하며 명분과 실리를 모두 잡게 됐다.
지난 시즌 롯데의 최대 강점으로 꼽히는 외국인 선수 3인방, 조쉬 린드블럼-브룩스 레일리-짐 아두치도 모두 잔류를 택했다. 여기에 넥센이 손승락의 FA 보상으로 선수 대신 보상금(15억 9000만원)을 택하면서 롯데가 전력에 손실을 입은 것은 FA로 한화 유니폼을 입게 된 심수창 한 명 뿐이다.
선발과 불펜에 충분한 대체자원들을 확보했다는 것을 감안했을 때, 사실상 전력누수보다는 보강에 훨씬 무게가 쏠린다.
효율적인 전력보강은 자연스럽게 다음 시즌 성적에 대한 기대치로 이어진다.
롯데는 최근 3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한국시리즈 무관으로 따지자면 무려 23년째로 KBO 역사상 최장기간이기도 하다. 더구나 지난 몇 년간 성적부진과 함께 구단 운영을 둘러싼 여러 가지 잡음으로 팬들의 비판을 받는 등 곤욕을 치렀다.
구단도 다음 시즌에는 그동안의 부진을 만회할 수 있는 확실한 반전을 기대하고 있다. 스프링캠프를 통하여 아직 완성되지 못한 4-5선발진과 외야진의 교통정리 등 보완해야할 과제가 남아있지만 2016시즌의 롯데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것만큼은 분명한 사실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