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비마다...'위기의 무대' 김무성의 리더십은...
14일 전격 합의 '안심번호' 알맹이는 글쎄…
일부 비박계 "이런 식이면 무대 믿을 수 있나"
"얻은거라곤 고작 '안심번호제'라는 허울 뿐이다."
최근 새누리당 지도부가 지난 9월 언급됐던 '안심번호제'와 관련 전격적으로 도입을 재추진한 것을 두고 한 비박계 의원의 발언이다.
'무성대장',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다. 복수의 비박계 의원들이 '무성대장'의 최근 행보에 물음표를 띄우고 있다. 한 의원은 "이래서는 중요할 때 믿고 따라가겠느냐"며 답답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시작은 지난 14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김 대표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과거 합의했다가 친박계와 청와대의 반발로 물러선 '안심번호제'를 전격 도입하면서다. 얼핏 김 대표가 계속 주장했던 '안심번호제'의 전격 도입은 김 대표의 성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속살은 반대다.
이유는 '안심번호제'를 통한 여론조사시 조사대상 구성의 비율에 있다. 지난 9월 '안심번호제'에 극렬 반대했던 친박계는 반대 이유를 현행 당헌당규에 명시된 일반인과 당원의 비율인 50대 50이 아닌 100% 일반인 여론조사에 뒀다. 100% 국민 여론조사를 하게 될 경우 본인들이 불리하다는 판단에서다. 반면 김 대표는 '국민공천제',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하면서 여론조사의 일반인 비율 100%를 주장했었다.
그러나 이번 '전격합의'의 여론조사 비율은 김 대표는 "앞으로 논의하면 된다"는 말로 에둘러 표현만 했을 뿐 사실상 현행 당헌당규인 '일반인 50%와 당원 50%'라는 것이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이를 두고 새누리당 당직자는 "이번에 전격 합의한 '안심번호제'는 기술적으로는 9월의 그것과 동일할지 몰라도 의미는 전혀 다르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안심번호제'라는 여론조사 기법만을 수용했을 뿐 그 핵심인 조사 비율을 '현행당헌 당규를 포함해 추후 논의한다'고 말해 사실상 김 대표가 양보했다는 것이다. 그는 "김 대표가 얻은 것은 황진하 사무총장을 공천위원장에 앉히겠다는 것 관철시킨 정도 아니겠느냐"고 덧붙였다.
'데일리안'과 통화한 비박계 의원도 이번 전격 합의를 통해 김 대표가 얻은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안심번호제'가 마치 오픈프라이머리인 것처럼 보이게 뒤집어씌워 놓고 합의해 오픈프라이머리가 성사된 것처럼 했지만, 실상은 얻은 게 없다"며 "친박계가 원하는대로 현행 당원당규(50대 50)로 돌아온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또 다른 비박계 의원은 "(안심번호제도 주장의 본래 목적이) 빛이 바래버렸다"며 "이런 식이면 앞으로 김 대표를 믿을 수 있겠느냐.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지난 6월 '거부권 파동'에서 투톱이었던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찍어내기'를 눈감으며 고개 숙였던 김 대표가 반 년 가까이 결정적인 순간마다 청와대에 무릎을 굽히면서 그를 지지하던 비박계의 마음이 떠나는 분위기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