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대기업 무너지면 줄줄이 도산...발목잡기 안돼"
"야당, 중소기업과 서민 보호한다면 법안 발목 못잡는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21일 "구조조정이 지연돼 대기업 한두 곳이 무너지면 대기업과 연결된 중소기업, 중견기업 등이 도산한다"며 야당에 기업활력제고특별법의 법안 통과를 촉구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회의 기본 책무는 국정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적절한 법안을 적시에 통과시키는 것이다"라며 "이것을 하지 않는 것은 국회의 기본 책무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고 국민들의 명령을 위반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대기업, 중견기업 등이 줄줄이 도산하면 소상공인들도 가계 문을 닫아야 하고, 일자리도 없어진다. 지역 경제가 초토화될 것이라고 예상한다"며 "중소기업과 서민들을 보호하겠다고 틈만 나면 이야기하는 야당 의원들이 이런 경제 메커니즘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려하면 법안 발목 못 잡는다"고 야당의 법안 발목잡기를 강하게 비판했다.
아울러 지난 19일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가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Aa3에서 Aa2로 한 단계 상향한 것에 대해 "(무디스가) 신용등급 상향 요인으로 구조개혁을 꼽았다"며 "4대 구조개혁은 경제체질이 만성 위험에 빠질 수 있는 우리 경제 위기 탈출의 유일한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고 선진국 또한 노동개혁 했다"며 노동 개혁의 중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도 "지난 30일 국회에서 비준된 한-중, 한-뉴질랜드 FTA가 연내 발효되면서 가격 경쟁력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며 "이처럼 제때 일하면 우리 경제 발전과 후생경제로 이어진다"고 국회에 계류된 법안 처리를 촉구했다.
또한 이인제 최고위원은 "입법부 수장인 국회의장께서 위기 상황, 비상사태에 대해 보다 폭넓은 인식을 가지고 여야 대타협을 주선하고 있지만 여의치 않다면 선제 대응 조치를 취해주셔야 한다"며 "앞으로 남은 열흘 동안 모든 노력을 기울여 발등에 떨어진 불같은 현안들을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원 원내대표는 이날 회의에서 "20대 총선에서는 수도권의 선거구 증가가 필연적이기 때문에 수도권이 승부처가 될 것"이라며 "개혁적인 이미지로 국민들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는 안대희 전 대법관 같은 분들이 수도권 접전지에 출마해서 총선에 임한다면 총선 승리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원 원내대표 발언에 대해) 최고위원회에서 논의가 있었다"며 "당의 소중한 자산이 되는 명망가들에 대해서는 수도권 지역에 출마하도록 권유하도록 하는 것이 좋지 않겠냐는 이야기가 나왔다. 전략 공천은 아니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