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2+2 회동, 또 '빈손' 종료…23일 재협상
여야 원내지도부가 21일 쟁점법안과 선거구 획정안과 관련해 재협상에 나섰지만 소득을 얻지 못했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김정훈 정책위의장, 더불어민주당 이종걸 원내대표·이목희 정책위의장은 정의화 국회의장 주재로 쟁점법안과 선거구 획정에 대한 재논의를 하기 위해 1시간여 회동했지만, 합의안을 도출하는 데 실패했다.
원 원내대표는 회동 직후 연 브리핑에서 “쟁점법안 중 기업활력제고특별법은 더민주에서 원안 수준에 수용하겠다고 했다”며 “대신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길을 국회가 열어주자’라는 의미에서 국호의장 주재 하에 양당 지도부가 관계자들을 국회에 초청해 간담회를 열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비스발전기본법은 아직 쟁점이 해소되지 않았고, 북한인권법은 상당 부분 합의했다고 보면 된다”며 “테러방지법과 관련해서는 아직 이견이 해소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노동개혁 5법에 대해서는 “3법에 대해선 큰 이견이 없지만 파견법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며 “방식과 관련해 내용과 시기에 대한 논의를 추후에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원 원내대표는 선거구 획정안에 대해 “이 원내대표는 최소 의석안을 검토해달라 요청했고 이 정책위의장은 정당 후원회 허용과 득표율에 따른 후원금 배부방식 검토를 제의했다”며 “해당 제의에 대해서는 검토하겠지만 획기적인 변화에 대해서는 수용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은 양당 원내대표 합의대로 253석안을 유지하자는 이야기를 했다”며 “1월 임시국회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계속 협상을 이어나가 쟁점법안과 선거구 획정 합의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양당 원내지도부는 23일 오후 국회에서 회담을 이어갈 예정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