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럽게 '분당' 초강수 둔 천정배, 속내는 역시...
'통합' 이어 '연대' 두고 핵분열 위기 국민의당
천정배 '숙의배심원제', '단수추천' 덮으려는 것…관측도
'통합' 이어 '연대' 두고 핵분열 위기 국민의당
천정배 '숙의배심원제', '단수추천' 덮으려는 것…관측도
국민의당 내분이 11일 김한길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의 선대위원장직 사임으로 극한으로 치닫는 가운데 전날 천정배 공동대표가 '분당'을 암시한 것과 관련해 당내 공천권을 둘러싼 엄포용 발언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국민의당 지도부의 내분은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의 '통합 제의'로 시작됐다. '통합' 자체는 의원총회와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정리했지만, '수도권 연대' 등과 관련해서 안철수 상임대표는 '연대 불가'를 거듭 확인한 것에 반해 천 대표나 김 상임위원장은 "여당 승리 저지를 위해선 연대를 해야한다"고 주장해 시각차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당 지도부의 '시각차'는 이날 김한길 상임위원장의 당직 사임으로인해 '불화'로 격화됐다. 김 상임위원장 측은 선거가 불과 33일 남은 이날 오전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세지를 통해 "안철수 상임대표의 강고한 반대를 넘지 못해 이에 상임선대위원장의 직에서 물러난다"며 대놓고 안 대표와의 의견차가 지도부의 소통에 큰 문제가 되고 있음을 밝혔다.
김 상임위원장의 사임보다 더 큰 문제는 천 대표의 '분당' 시사다. 천 대표는 "11일까지 연대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중대결단을 하겠다"며 최후통첩을 날렸다. 천 대표 측 관계자에 따르면 천 대표가 언급한 '중대결단'에는 총선 불출마나 공동대표직 사퇴 수준이 아니라 분당까지 고려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정가는 물론 국민의당 내부로부터도 천 대표의 이러한 발언에 대해 정가는 '엄포용'이거나 '화제전환·이슈선점용'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천 대표가 탈당을 하더라도 광주 호남의 현역 의원들의 추가탈당으로 이어지기 힘들기 때문에 탈당으로 안 대표에게 타격을 주는 것 말고는 천 대표에게 큰 실익이 없다는 관측에 기인한다.
더 나아가 김 상임위원장보다 '연대'에 대해 덜 적극적이었던 천 대표가 갑작스레 '분당'이라는 초강수를 들이댄 것과 관련 본인의 지역구 '단수추천' 문제와 광주의 '숙의배심원제' 문제가 불거지기전 다른 큰 이슈로 이 문제들을 덮으려는 시도라는 의심의 눈초리도 나왔다.
실제로 10일 오후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당사 기자실에는 천 대표의 지역구인 광주 서을에서 출마를 준비중이던 김하중 예비후보가 찾아와 "광주 서을에 '단수추천'을 하려고 한다"며 기자회견을 자청했다. 김 교수는 "천 대표가 여당 압승을 막기 위해 야권통합, 선거연대를 외치면서 뒤에서는 광주에 출마를 하기 위해 경선을 회피하려고 저를 컷오프했다는 소문이 들린다"며 "'뉴DJ'들에게 맡기고 천 대표는 수도권에 출마해 당 외연을 넓혀주는 것이 언행일치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천 대표의 단수추천은 당사자인 김 교수 뿐만 아니라 광주 지역에서 출마를 준비중인 다른 현역 의원들의 반발도 사고 있다. 한 광주지역 현역 의원실 관계자는 "광주 현역 물갈이 이야기하면서 정작 본인은 다른 후보가 있음에도 단수추천을 받겠다고 하는게 말이나 되느냐"며 천 대표의 논리를 꼬집었다.
이어 "지역 언론들은 천 대표가 '뉴DJ'라고 말하면서 사실상 자기 사람을 당선시켜 당내 지분을 확보하기 위해 '숙의배심원제'를 주장할 뿐만 아니라 배심원까지 좌지우지하려 한다는 보도가 나온다"며 '숙의배심원제'에 대한 의구심도 들어냈다. 그는 "'숙의배심원제'를 하려면 후보가 있는 모든 지역에서 하는 게 맞지 않겠느냐"고 주장했다. 또 다른 의원실 관계자는 "친노패권주의 피해 국민의당 왔더니 이제는 친천패권주의에 또 얻어맞고 있다"며 답답해했다.
당내 기류를 의식한 듯 공관위도 지난 10일 다수의 언론을 통해 보도된 천 대표의 단수추천에 대해 공식 부인하고 나섰다. 정연정 공관위 대변인은 11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제2차 단수 및 경선지역 발표' 브리핑 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천 대표의 단수추천이 확정됐느냐'는 질문에 "여전히 공관위에서 논의중이고 그 부분에 대해서는 확정된 것이 없다"고 답했다.
한편 천 대표는 이날 오후 자신의 SNS를 통해 "안 대표의 결단이 총선을 구하고 민주주의를 구할 것이라고 믿는다"며 "나는 그의 지혜를 기다리고 있다"고 심정을 밝혔다. 이어 "우리는 기억해야한다. 그는(안 대표는) 희생과 헌신으로 위기에 빠진 우리를 구해내고자 했다는 것을..."이라고 적어 안 대표의 '연대 불가 방침' 철회를 거듭 요청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