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간 김종인, 문재인 '앞잡이' 아니라 외친 이유가...
'문안박' 연대 제의 뿔났던 호남 민심 복구 시도
"패권 유지하던 분들이 호남 분열 이끌어" 맹공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26일 야권 텃밭인 호남 지역을 돌며 표심 굳히기에 나섰다. 그는 이날 "나는 바지사장 노릇을 못한다. 누구의 앞잡이도 아니다"며 문재인 전 당 대표와는 상관없는 '독자 행보'를 강조했다.
이는 문 전 대표가 지난해 '문재인·안철수·박원순(문안박)' 연대를 제안, '호남 소외'를 가중시켰다는 뿔난 민심에 대한 조처이자, 최근 비례대표 파문을 거치며 문 전 대표의 '꼭두각시'가 아니냐는 항간의 의심을 풀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 대표는 이날 후보들의 개소식 및 지역 간담회에 참석해 '경제 심판'을 강조하고 '호남 패권주의'도 지적했다. 그는 전남 담양·함평·영광·장성 지역구에 입후보한 이개호 의원의 선거사무소 개소식에 참석한 뒤 조상기 후보(목포)와의 간담회 일정을 소화했다. 이후 서삼석(영암무안신안) 송대수(여수갑) 후보의 개소식을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김 대표는 "호남에서 내가 누구의 앞잡이가 아니냐. 선거가 끝나면 홀연히 사라지는 것 아니냐고 말들이 많은데 그런 일은 절대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드린다"며 "저는 바지사장 노릇을 못한다. 특정인을 위해서 제가 여기 와서 이런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솔직히 이야기해서 누가 뭐래도 (저는) 어떠한 두려움을 갖고 있지 않다. 더민주가 가진 병폐를 치유할 수 있는대로 치유하려는 것이 제 각오"라며 수권 정당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대표는 박지원 국민의당 의원의 지역구인 목포에서 '호남 기득권' 세력 또한 비판했다. 그는 "호남에서 기득권을 가진 정치인들이 말로는 모두 '패권'을 운운하면서도 본인들도 역시 패권을 유지하고 있는 분들이다"며 "그런 분들이 결국 호남을 분열로 이끌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호남 정치가 분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호남을 대변할 수 있는 뚜렷한 인물이 존재하냐고 걱정하는 분들을 (제가) 많이 봤다"며 "과거 기득권을 가진 사람들이 호남을 대변할 것인가. 새싹들(정치 신인들)이 미래의 호남을 대표할 것인가를 잘 판가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자신의 SNS를 통해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그는 "비례 2번 김 대표가 첫 지방 지원을 호남에서 시작한다는 보도가 있다"며 "호남을 오려면 지난 대선에서 90%의 지지를 받았던 문 전 대표가 와야지 국보위(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출신 김 대표가 오는 것은 어쩐지 번지수가 틀린 것 같다"고 비꼬았다.
또 "일본 교과서에 '독도는 일본 땅이다'라고 기술해도 '독도는 우리 땅'이다"며 "김 대표께서 '나는 더민주 바지사장 아닙니다'라고 해도 국민은 '김종인은 바지사장, 주인은 문재인'이라고 한다"고 맞받아쳤다.
한편 김 대표는 이날도 당의 핵심 공약인 '경제'를 언급하며 현 경제 상황을 제대로 진단·처방하지 못해 추락하고 있는 우리나라 경제를 살릴 수 있는 것은 '더민주'뿐이라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