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부르거나, 코믹 뮤비 찍거나…이색 선거송 ‘인기’
픽미 vs 더더더 vs 로봇태권브이
듣기 편하고 젊은층 공략하고 기억에 남는...
‘잘 만든 선거송 하나, 열 슬로건 안 부럽다.’
중독성이 강한 노래, 귀에 쏙쏙 들어오는 가사는 정당과 후보의 이미지로 각인된다. 이 때문에 선거송은 가장 효과적인 선거 운동 중 하나로 꼽힌다. 4·13 총선의 공식 선거운동 시작일인 지난달 31일부터 울려 퍼진 선거송도 유권자의 귀를 사로잡고 있다.
먼저 정당 공식 로고송은 트로트 일색이던 이전 선거와는 달리 ‘젊은 층’을 공략한 빠른 템포의 곡이 주를 이룬다. 특히 반복되는 가사를 통해 쉽게 따라 부를 수 있게 한다는 전략이 담겨 있다.
새누리당의 공식 선거송은 방송 프로그램 ‘프로듀스101’의 주제가 ‘픽미(Pick Me)’다. ‘나를 뽑아 달라’는 가사인 ‘픽미’가 후렴구에 여러 번 들어가 일찌감치 ‘총선 1순위 선거송’으로 불려왔다. “우리는 꿈을 꾸는 사람들. 모두의 꿈을 이룬 이순간 새누리 기호 1번 선택해. 새누리 기호 1번 새누리”에 맞춰 후보는 물론 지도부까지 율동을 하며 유권자에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외에도 새누리당은 가수 혜은이의 노래를 개사한 ‘뛰뛰빵빵’ 등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유명 작곡가 김형석 씨가 재능기부 형식으로 만든 ‘더!더!더!’를 공식 로고송으로 사용한다. 더민주의 ‘더’가 140여 차례 등장하는 후크송으로, 중독성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클럽음악 ‘붐바(BOMBA)’도 더민주 후보의 유세 차량을 통해 들을 수 있다. 영화 ‘검사외전’에서 배우 강동원이 이 곡에 맞춰 선거 운동을 하는 장면이 눈을 사로잡은 바 있다. 더민주도 이 영화의 흥행처럼 이번 선거에서 젊은층의 마음을 얻겠다는 전략이다.
국민의당은 ‘로보트태권V’를 로고송으로 사용하고 있다. 남녀노소 한 번쯤은 들어본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달려라 달려 기호 3번. 날아라 날아 국민의당. 정의로 뭉친 국민 국민의 3번 용감하고 씩씩한 국민의 친구” 등의 가사로 개사해 한 표를 호소한다.
정의당은 ‘N포 세대’를 대변하는 중식이밴드와 로고송 협약을 진행해 2030의 인기를 끌고 있다. 로고송은 ‘여기 사람이 있어요’ 등 중식이밴드의 곡을 활용했다. 또한 ‘정의당 20대 총선 로고송 클럽개장’이라는 테마로 로고송 5곡을 웃긴 춤, 웃긴 행동 등이 담긴 메들리 영상으로 제작해 이목을 끌고 있다.
정당의 공식 로고송 외에도 후보가 직접 노래를 불러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서울 서대문을 새누리당 정두언 후보는 ‘백세인생’과 ‘걱정말아요 그대’를 직접 불렀다. 그는 4집 앨범까지 낸 가수협회 정식회원으로, 뛰어난 가창으로 유권자의 귀를 사로잡는다. 정 후보는 더민주 김영호 후보, 국민의당 홍성덕 후보와 경쟁하고 있다.
자신의 코믹한 모습을 담은 일명 ‘셀프 디스 뮤직비디오’를 홍보에 활용하는 이들도 있다. 인천 서갑 새누리당 이학재 후보는 ‘픽미’를 자신만의 스타일로 개사해 직접 춤을 추며 뮤직비디오를 촬영했다. ‘학재가 해낼거야 믿어야. 일반도로화 2호선 학재가 해냈어’ 등 19대 국회에서 이뤄낸 성과와 공약을 녹였다. 이 후보는 더민주 김교흥 후보, 국민의당 유길종 후보, 무소속 안생준 후보와 겨룬다.
서울 관악갑 국민의당 김성식 후보도 웃긴 뮤직비디오로 인기를 끌고 있다. 그는 노라조의 ‘카레’에 ‘3번 3번 김성식이야. 아 완전 좋아. 아 레알 좋아’ 등의 가사를 담았다. 트로트풍 음악으로 고령의 유권자는 물론, 코믹한 영상으로 젊은 세대까지 사로잡고 있다. 김 후보는 새누리당 원영섭 후보, 더민주 유기홍 후보, 정의당 이동영 후보, 민중연합당 연시영 후보와 맞붙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