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제연구소 중 가장 낮은 수치
"세계경기 부진...수출호전 어려워"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을 3.1%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 가운데 LG경제연구소가 국내 예측기관 중 가장 낮은 2.4%로 전망해 주목된다. 올해도 저성장이 고착화, 장기화되면서 경제 전체의 활력을 잃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LG경제연구원은 14일 내놓은 ´2016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4%로 하향 조정했다.
이런 LG경제연구원의 올 성장률 전망은 정부와 한국은행, 국내 주요 경제연구소의 전망치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주요 10대 해외 투자은행(IB)들은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평균 2.6%에서 이달 초 2.5%로 내렸고 모건스탠리와 UBS는 가장 낮은 2.3%를 제시했다.
LG경제연구원은 "세계경기 부진과 우리 주력제품의 산업경기 위축 등으로 국내 경기의 향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수출이 호전되기 어렵다"고 하향 조정 배경을 설명했다.
연구원은 "수출부진으로 기업수익성이 떨어지고 고용과 임금 상승세도 둔화하면서 하반기로 갈수록 내수경기의 활력도 점차 떨어질 것"이라며 특히 "주택경기의 상승세가 멈추면서 건설투자 증가세로 꺾일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서비스업의 고용 둔화로 취업자 증가 규모가 20만명대로 낮아지고 소비자물가도 1% 내외 오르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