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주파수 경매 종료
KT-LGU+, 2.1GHz-1.8GHz 최저가...SKT 2.6GHz 약 1.3조에 획득
이동통신3사가 예상보다 싱겁게 끝난 이번 주파수 경매 결과에 대해 만족한다고 공식 입장을 표명했다. 합리적 가격에 향후 5세대(5G) 이동통신 생태계 구축을 위한 인프라를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일 8라운드 만에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가 종료됐다고 밝혔다. 총 낙찰가는 2조1106억원으로, SK텔레콤은 1조2777억원에 2.6GHz 블록(2곳)을 낙찰받았다.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1.8GHz, 2.1GHz 대역을 최저가에 가져갔다. 낙찰가는 4513억원, 3816억원이다.
SK텔레콤은 “이번 주파수 경매를 통해 2.6GHz 광대역 및 협대역 주파수, 총 60MHz 폭의 가장 많은 주파수를 확보했다”며 “특히, 1MHz당 가장 적은 낙찰가격(5년 기준, SKT 106억, KT 113억, LG U+ 191억)으로 주파수를 확보하여 투자의 효율성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2.6GHz 대역은 글로벌 생태계가 넓은 핵심 주파수로, 이미 단말이 많이 보급돼 기존 고객까지 추가 광대역 혜택이 가능하며, 용량 부담도 조기에 해소가 가능해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KT 역시 이번 경매가 시장원리에 따른 합리적인 경매라고 주장했다. KT측은 “이번 경매에서 주력 광대역망인 1.8㎓ 인접대역을 추가 확보함으로써 국내 최초 초광대역 전국망 LTE를 즉시 제공 가능하다”며 “1.8㎓대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는 LTE 주파수로 기존 1.8㎓ 인프라에 초광대역 LTE를 바로 적용가능하고 안정적인 품질제공으로 고객 체감품질 향상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KT 고객들은 쓰던폰 그대로 신규 1.8㎓ 대역에서 즉시 이용 가능하며, KT는 이번에 확보한 주파수를 통해 기가 LTE, 기가 IoT 등 더욱 편리하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2.1GHz 광대역 주파수를 최저가에 확보했다”며 “해당 주파수는 기존에 보유한 동일 대역 주파수 20MHz 폭과 묶어 올해 말부터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2.6㎓ 광대역과 함께 최대 375Mbps속도의 듀얼 광대역(2.1㎓+2.6㎓) 3밴드 CA 서비스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 LG유플러스는 4x4미모(MIMO), 256쾀(QAM) 등 차세대 LTE 기술을 적용하여 기가급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정부의 투명하고 공정한 주파수 정책을 통해 각 사업자가 이번 경매에서 필요로 했던 주파수를 적정한 가격에 확보했다”며 “통신산업 투자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