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3자회동, 김무성-최경환 컴백 계기 안 돼"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25일, 전날 있었던 정진석 원내대표와 김무성 전 대표, 최경환 의원 간 회동을 두고 "당 위기에 가장 책임 있는 두 분(김 전 대표, 최 의원)이 아무런 반성 없이 컴백하는 계기가 돼서는 안 된다"라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당의 혼란을 막고나 나서준 두 분의 마음은 이해하지만 새누리당의 진로가 계파 보스 간 타협에 의해 결정되는 것처럼 비쳐진 것은 매우 유감이다. 구시대로의 회귀"라며 이같이 밝혔다.
하 의원은 "어제의 회동은 대표적인 중진 인사들의 의견 청취였을 뿐이며 비대위-혁신위 투트랙 체제는 당선자 전원의 설문조사에 근거한 사실상 의총 결정 사항이었다. 따라서 이 결정을 번복하기 위해선 새로운 의총이 반드시 개최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당사자들이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계파 해체 선언은 눈 가리고 아웅일 뿐"이라며 "비대위에서 논의할 안건을 양 계파 수장이라는 분들이 합의하여 사전 가이드라인을 주는 것은 명백한 월권"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계파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구태가 당의 위기를 초래했고 비대위는 그 비상 상황을 돌파할 책임이 있는 조직인데 비대위원장 인선에서부터 계파 절충식이라면 어느 국민에게도 감동을 줄 수 없다"며 "혁신형 비대위원장의 인선은 정 원내대표에게 전권을 주고 두 계파가 조건 없이 동의하겠다고 선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이후 취재진과 만나 "이에 대해 실제로 속에서 부글부글 끓는 사람이 계파 가릴 것 없이 많다"며 "총선 참패를 가장 책임지고 백의종군 해야할 분들이 당의 혼란을 컴백하는 계기로 악용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도부가) 적어도 의총 소집은 받아들일 거라고 생각한다"며 "양 계파 진영과 지도부의 반영을 보면서 어떤 식으로 대처할 지 고민하겠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