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현대중 노조, 구조조정 강력 반대…쟁의발생 결의키로


입력 2016.06.09 10:23 수정 2016.06.09 10:38        박영국 기자

"정몽준 이사장 사재출연, 현대오일뱅크 지분매각으로 유동성 확보해야"

정부가 산업·기업 구조조정 추진 계획을 발표한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운동 주민센터 인근에서 조선업종노조연대 회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일방적 구조조정 중단과 부실경영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며 손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현대중공업이 지난 8일 비핵심자산 매각, 비핵심 사업부문 분사 후 지분매각, 인건비 축소 등 구조조정 방안을 발표한 가운데, 현대중공업 노조는 이같은 구조조정 방안에 반대를 표하며 파업 사전절차인 쟁의발생 결의에 나선다는 방침을 밝혔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9일 소식지를 통해 “지금 회사측이 자행하고 있는 구조조정은 기본상식을 벗어난 노동자 죽이기 침탈”이라며 “분사와 아웃소싱은 조합원 고용을 위태롭게 하고 고정연장수당 폐지 또한 노사가 합의해야 할 사항”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단체협약에 따른 노사합의를 거치지 않고 이를 밀어붙인다면 ‘노조파괴’로 규정하고 강도높은 투쟁을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오는 17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고 조합원 찬반투표를 실시해 쟁의발생 결의를 확정할 예정이다. 이날 투표에서 과반수 이상의 찬성을 얻으면 합법적인 쟁의권을 확보해 파업에 돌입할 수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게차, 태양광, 산업기계 등 비조선 제품사업을 분사해 일부 지분을 매각하고, 계열사를 재편해 1조1000억원의 자금을 확보할 방침이다.

또한 사장단, 임원, 부서장 임금반납과 연장근로 폐지, 연월차 소진 등 일자리나누기 등을 통해 9000억원 규모를 절감할 계획이다.

노조는 회사측의 비조선 부문 분사 계획에 대해 “인건비와 노사가 맺은 단체협약이 보장하는 복지제도를 축소하려는 의도”라고 규정하며 “분사가 의도대로 진행되면 지금보다 더 자유로운 구조조정이 가능해진다”고 주장했다.

또한 비조선 부문 분사가 3세 경영권 시나리오(지주회사 전환)와도 연관되며, 조합원 수를 줄여 노동조합을 무력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했다.

2014년과 2015년 해양플랜트 부문의 대규모 적자에도 다른 조선사에 비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게 비조선 부문에서 매출의 안정을 유지했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펼쳤다.

노조는 비조선 부문을 분사할 게 아니라 대주주인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의 사재 출연과 현대오일뱅크 지분 매각 등을 통해 자금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대오일뱅크 상장을 통해 현대중공업이 보유한 현대오일뱅크 지분 92% 중 40%만 매각해도 4조원의 자금 확보가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노조는 17일 쟁의발생 결의에 앞서 울산조선서와 서울 등지에서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집회와 농성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9일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조선업종노조연대 차원에서 야3당 의원 등이 참여하는 토론회가 예정돼 있으며, 10일부터 나흘간 현대중공업 노조 간부 4명이 국회 앞에서 천막농성을 진행한다. 15일에는 울산 조선소에서 전 조합원을 대상으로 중앙집회를 준비하고 있다.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