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조선업 구조조정, '업계·채권단 주도 원칙' 재확인


입력 2016.06.29 08:52 수정 2016.06.29 08:57        박영국 기자

산업부, 조선업계 CEO·전문가 간담회 개최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자료사진)ⓒ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정부와 조선업계 CEO들이 조선업 구조조정은 정부가 아닌 업계와 채권단이 시장원리에 따라 주도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오전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 등 조선업체 CEO, 조선업계 원로와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주형환 장관 주재로 '조선업계 CEO·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저유가, 세계경기 침체로 인한 글로벌 수요부진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한 우리 조선산업의 위기 극복과 경쟁력 강화 방안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주 장관은 “우리 조선산업 경쟁력에 대한 냉철한 분석을 통해 현재의 위기 상황을 산업 체질 강화와 재도약의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이날 조선업 구조조정에 대해 시장원리에 따라 업계와 채권단이 주도하되, 향후 시장 회복기에 대응해 최적의 경쟁력을 갖추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모았다.

또한 구조조정 과정에서 핵심인력의 해외 유출을 방지하는 방안과 선박펀드 등을 활용한 단기 수요 창출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조선 산업 자체의 발전 차원에서는 친환경 선박 등 고부가가치 핵심 분야 집중 및 전문화, 해양플랜트 분야 기초설계 역량 제고, 핵심 기자재 국산화, 고부가 선박 개조, IT 융합을 통한 스마트십 기술개발 등 조선 산업의 지식역량 강화 등의 방안이 논의됐다.

기자재 업체 및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련해서는 기자재 업체에 대한 긴급자금 지원 등을 통한 단기적인 사업 안정화 및 중장기적인 사업 다각화, SOC·에너지 등 대규모 공공사업을 통한 협력업체 실업 인력의 효과적인 흡수, 규제 프리존 사업을 중심으로 신산업 창출을 위한 과감한 규제완화와 R&D, 인력양성, 세제 지원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주 장관은 이날 제시된 각계의 의견과 8월 도출 예정인 민간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8일 출범한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 산업구조조정분과위원회를 통해 종합적인 정부 차원의 지원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