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서비스'로 활로 찾는 지방은행...숨통 트일까
모바일로 통장 개설 및 원스톱 대출까지...지방은행의 공간적 한계 넘어서
지방은행, "'비대면' 통한 탈지역화는 무리...고객 편의성 증대 차원 크다"
지방은행이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새동력찾기에 나섰다. 최근 금융당국의 계좌개설 규제 완화 등 비대면 확대 정책에 따라 지방은행에 활로를 개척할 기회가 찾아온 것이다.
모바일로 통장 개설-원스톱 대출까지...공간적 한계 넘어서
제주은행은 지난 7일 모바일 전문은행인 J뱅크를 출시하고 모바일 기반의 금융서비스 제공에 시동을 걸었다.
특히 이번 서비스를 통해 권역과 고객 구분이 없어 서울에서도 제주은행의 통장 개설이 가능해졌다. 제주은행 관계자는 “대포통장 등의 우려로 하루 출금 한도는 30만원에 불과하지만 이 역시도 영업점에 방문하면 확대가 가능하다”며 “향후 카카오페이 등을 통한 모바일 간편 송금서비스와 연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대구은행도 은행권 최초로 새희망홀씨대출의 비대면 상품을 내놨다. 그동안 온라인을 통해 신청 접수 후 영업점 방문이 필수였던 시중은행들의 비대면 대출상품과 달리, 대출 신청과 심사, 입금 등이 모바일과 인터넷을 통해 한 번에 이뤄지는 것이 특징이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중금리 대출상품의 경우 고객들이 영업점 방문을 불편해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를 비대면 상품과 접목해 고객 편의성을 높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방은행, "비대면 통한 탈지역화는 무리...고객 편의성 증대 차원"
일각에서는 지방은행들의 이 같은 비대면 서비스 강화가 그동안 지역 밀착영업 중심에서 ‘탈지역화’를 향한 수순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지방은행 내부에선 타지역 고객들을 새고객으로 유치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보고 있다. 오히려 과도한 확대 전략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방은행의 한 관계자는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권역이 무너져버리게 되면 오히려 자본력 강한 시중은행들과 동등한 입장에서 경쟁을 해야 하기 때문에 지방은행 입장에서는 오히려 부담이 커질 수 있다”며 “기존 지역고객들을 위한 밀착 서비스 개념 차원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