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비박계, 서청원 등판에 '최고위원' 사활 거나


입력 2016.07.14 10:12 수정 2016.07.14 10:14        고수정 기자

비박, 수적 열세·후보 난립 '승산 희박' 목소리 나와

친박 권력장악 막으려 '구인난' 최고위원 후보 낼 가능성

새누리당 비박계가 서청원(사진) 의원의 8·9 전당대회 당 대표 경선 등판 시 최고위원직에 후보를 대거 내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비박, 수적 열세·후보 난립 '승산 희박' 목소리 나와
친박 권력장악 막으려 '구인난' 최고위원 후보 낼 가능성


새누리당 비박계가 서청원 의원의 8·9 전당대회 당 대표 경선 등판 시 ‘권력 쟁취 시나리오’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서 의원이 당내 최대 계파 수장으로서 막강한 조직력을 갖췄다는 점과 친박계 주류가 교통정리에 나섰다는 점에서 당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비박계가 당권 장악 가능성이 희박해질 경우 ‘제 2 권력’인 최고위원에 사활을 걸 수 있다는 말이 나온다.

복수의 정치권 관계자에 따르면 서 의원은 이르면 14일 당 대표 경선 출마에 대한 입장을 밝힌다. 친박계가 ‘정권 재창출’을 명분으로 서 의원을 찾아가 출마를 읍소한 만큼, 서 의원이 이를 받아들이고 직접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다. 당권 주자로 거론됐던 원유철 전 원내대표의 불출마 선언에 이어 홍문종 의원도 서 의원 결정을 지켜보고 결단하기로 했다. 친박 주류가 ‘서청원 추대’를 위한 멍석을 깔고 있다는 분석이다.

친박계 내부는 물론 정가에서는 서 의원이 당권 주자로 나설 경우 승산이 높다고 보고 있다. 비박계가 수적으로 열세인데다 출마를 공식화하거나 저울질 중인 의원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정병국·김용태 의원은 출마를 공식화했으며, 나경원·홍문표 의원도 출마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흥행하고 있는 당 대표 경선에 비해 최고위원 경선은 ‘식은 죽’ 상태다. 이번 전당대회부터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선출하기로 하면서 내로라하는 인사들은 모두 당 대표에 도전했다. 당연직 여성 최고위원 1명을 제외하고, 총 4명을 선출하는 최고위원 경선에 비박계 강석호 의원, 친박계 이장우 의원만 출마했다. 자천타천으로 일부 의원이 거론되지만 현재까지 어떠한 입장 발표도 없는 상태다. 이러한 상황 탓에 당내에서는 ‘최고위원은 돈(기탁금)만 내면 당선’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비박계가 권력을 잡기 위한 차선책으로 표면적으로 비어 있는 ‘두 자리’에 후보를 낼 것이라는 관측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13일 ‘데일리안’과 통화에서 “서 의원의 당권 도전이 기정사실화된 상황에서 비박계가 손 놓고 있지는 않을 것”이라며 “‘꿩 대신 닭’으로 최고위원에 후보를 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당권에 도전한 정병국·김용태 의원이 최고위원직으로 눈을 돌리기는 힘들고, 재선 이상급 인사 중에서 최고위원에 도전할 만한 인물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익명을 요구한 정치권 관계자도 통화에서 “친박계가 권력을 독식하는 걸 비박계가 가만히 보고만 있겠느냐”며 “없는 후보도 만들어서 최고위원 경선에 출마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비박계에서 최고위원 경선에 나갈 인물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우려다. 유력 인물들은 모두 당 대표에 도전한 상태에다가 고액의 기탁금(8000만 원) 탓에 엄두를 내지 못하는 분위기다. 당내에서 재선 이상의 비박계 최고위원 후보로 김영우·김성태·홍일표 의원 등이 거론된다. 하지만 세 사람 모두 불출마 의사를 밝혔다. 비박계 한 의원은 본보에 “대표에만 관심 있지 최고위원은 뒷전이다. 주변에서 최고위원에 나간다고 한 인물은 강 의원밖에 못 봤다”라며 “8000만 원을 내면서까지 누가 나가려고 하겠느냐”고 했다.

비박계에서 최고위원 경선에 후보를 다수 낼 경우 ‘표 쪼개지기’ 형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비박계에서 서 의원 등판에 따른 대책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비박계 의원실 관계자는 본보에 “친박계에서 입질하고 있는 의원들이 일부 있는 상황에서 비박계가 최고위원 후보를 낸다면 낙선 위험이 커지지 않겠느냐”며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비박계 수장 김무성 전 대표가 서 의원 등판에 대비한 비박계 당 대표 후보 단일화를 촉구하면서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