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국민의당, 대의원제 폐지·축소 놓고 '와글와글'


입력 2016.08.05 08:58 수정 2016.08.05 09:00        전형민 기자

4일 회의 결론 못내고 끝나…"추가로 심도있는 토론 필요"

'안철수계 고육지책', '직접 민주주의 실현' 등 당내서도 의견 분분

국민의당 당헌당규 제·개정위원회가 4일 대의원제의 폐지와 축소, 직능별 당원 모집 등을 두고 갑론을박을 벌였다. 사진은 지난달 27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안철수 전 대표, 정동영 의원이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습. (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4일 회의 결론 못내고 끝나…"추가로 심도있는 토론 필요"
'안철수계 고육지책', '직접 민주주의 실현' 등 당내서도 의견 분분


국민의당 당헌당규 제·개정위원회가 4일 대의원제의 폐지와 축소, 직능별 당원 모집 등을 두고 갑론을박을 벌였다. 일부에서는 갑작스런 대의원제 폐지 혹은 축소 바람의 원인에 대해 당내 안철수계의 고육지책(苦肉之策)으로 분석하면서도 오히려 지난 총선과정의 '숙의배심원제'와 같은 '판도라의 상자'가 될 수도 있다며 혼란스러워하는 분위기다.

지난 총선에서 국민의당의 킬러콘텐츠로 관심을 모았던 숙의배심원제는 '정치신인들을 당내 경선에 승리시키기 위한 제도적 장치'라고 비판 받았다. 하지만 막상 숙의배심원제를 시행한 광주 경선의 승리자중 정치신인은 단 1명 뿐이었다.

당 당헌당규 제·개정위원회는 이날 오전 국회 당 대표회의실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1시간 30여분 대의원제에 관한 토론을 벌였으나 결론을 내지 못하고 헤어졌다. 당초 결론지어 오후 2시에 브리핑 하기로 한 계획을 백지화했다. 결론이 모이지 않아 예정된 브리핑을 취소할 정도로 의견충돌이 있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폐지 혹은 축소를 주장하는 쪽은 대의원제의 폐지·축소가 특정계파의 이해관계를 떠나 우리 정치에서 오랜 기간 논의돼온 문제라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기성 정당에서 대의원제에 대한 여러 문제가 불거진 이상 새정치를 표방하는 국민의당이 굳이 문제있는 대의원제를 따를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앞으로 열릴 전당대회에서 마땅히 믿을만한 카드가 없는 안철수계의 포석으로 봤다. 안철수계가 차기 당권장악과 안 전 대표의 대권가도를 위해 대의원제보다 안 전 대표의 인지도를 등에 업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일반당원 투표를 고집한다는 주장이다. 당연직 대의원의 대부분이 호남계로 치우쳐있는 현상황에서 대의원을 중심으로하는 전당대회를 개최한다면 호남 의원이자 유력한 당권후보인 박지원 비대위원장의 당 대표 집권이 기정사실화된다.

이에 대해 국민의당 관계자는 "지금 우리당의 가장 큰 컨센서스는 '같이 살아야한다'는 공생(共生)이지 계파의 당권장악이 아니다"라며 "전 당원이 몇 십만이 되는 것도 아니고 전자투표로 얼마든지 모두의 의견을 물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안철수계의 전대를 내다본 포석이 아니냐'는 질문에도 "대의원제의 폐해는 예전부터 언급되던 문제인만큼 계파문제가 아닌 당이 살자고 변화하는 개념으로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안철수, 천정배 전 공동대표 등이 지난달 2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회의원-지역위원장 연석회의'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반면 대의원제를 고수하는 쪽은 안 전 대표측의 당권 장악을 견제하면서 현실적인 문제점을 이유로 든다. 아무리 당원이 적은 미니정당이지만 대의원제가 아닌 당비를 납부하는 '권리당원'을 전부 투표에 참석시키면 그 시간과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변수가 많아진다는 논리다.

한 당헌당규 제·개정위원회의 위원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대의원제 문제는 '중요한 의사결정의 문제에서는 당원 전체의 결정이 낫지 않느냐. 대의원으로 하면 왜곡되는 경우가 많다'라는 차원에서 이야기가 된 것"이라면서도 "실제로 해본 분들은 이게 현실적으로 제대로 되기가 쉽지 않다. 대의원제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정 계파의 당권 장악 포석이 아니냐'는 물음에도 "가능성이 없진 않다"고 했다.

국민의당 내부에서는 두 갈래의 충돌하는 주장과는 별개로 다양한 추측과 해설이 돌고 있다.

비(非)안철수계쪽에서는 오히려 대의원제 폐지가 안철수계에 마냥 유리한 것은 아니라는 주장이 나왔다. 호남을 지역구로 둔 의원실 관계자는 "대의원제를 폐지하고 일반당원의 직접 민주주의로 전대를 치룬다하더라도 지금 당원의 대부분은 각 지역구 의원이 탈·입당시 함께한 충성당원"이라며 "이들이 과연 안철수 전 대표만을 지지하는지는 두고 볼 문제"라고 말했다.

안 전 대표와 박지원 비대위원장이 이미 모종의 합의를 했을 수도 있다는 소리도 들린다. 한 국민의당 관계자는 "왜 안 전 대표와 박 위원장은 싸우지않으면 안되느냐. 안 전 대표가 대선가도를 위해 박 위원장과 모종의 딜을 했을 수도 있다"며 안 전 대표와 박 위원장의 '사전합의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한편 국민의당은 이날 오후 이 문제와 관련해 예정했던 브리핑을 취소했다. 당은 이에 대해 "전체회의에서 여러 의견이 제출되었고 추가로 심도깊은 토론이 필요하다 판단하여, 더 많은 의견수렴과 토론 후 발표할 내용의 골자가 나오면 브리핑하겠다"고 밝혔다.

전형민 기자 (verdant@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전형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