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노트7 정부앱 "정책 홍보 아닌 공익 서비스 위한 것"
설치단계부터 소비자 선택권 주어지고 언제든지 제거 가능
LG전자 출시 예정작, 앱 다운로드 적용 여부 불확실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에 행정자치부의 '정부3.0' 등 정부 어플리케이션 선탑재와 관련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행자부 관계자가 해명을 내놓았다.
행자부 관계자는 16일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정부3.0 앱은 기존의 앱들과 달리 뉴스(홍보) 중심이 아닌 서비스 제공이 중심”이라며 “국민이 꼭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공익적 차원에서 앱이 평가 받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는 지난 7월 갤노트7에 정부 앱이 탑재된다는 사안과 관련해 “정부 정책을 홍보하기 위해 앱을 선탑재 하는 것은 그릇된 선례가 될 수 있다”며 “정부는 정량적 실적 올리기에 매몰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행자부 관계자는 “정부3.0 앱은 설치단계에서 소비자에게 선택권이 주어질 뿐만 아니라 언제든지 제거 가능하다”며 “소비자 선택권이 없다는 선탑재 주장은 오히려 소비자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수를 부풀려 실적을 키우려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정부3.0 앱은 정부 서비스를 모아서 서비스간의 경쟁을 활성화 시키고 국민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라며 “이같은 서비스 정책은 모바일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도 추진되어 왔고 앱 다운로드 횟수에는 애초 관심도 없었다”고 답했다.
향후 출시될 스마트폰 모델들에도 정부3.0 앱 다운로드 선택이 적용될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이 관계자는 “출시되는 스마트폰마다 정부 앱 다운로드 선택을 포함시키자는 계획 등이 설정된 것은 아니다”며 “지난 3월에 삼성, LG에 개별적으로 제안을 했었고 LG는 현재까지 아무런 입장을 전달하지 않아 탑재 여부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3.0 앱과 갤노트7은 서로 출시 시기도 비슷하게 맞아 떨어졌다”며 “삼성도 이번 제안을 무조건 수용한 것이 아니라 공익성이 크다고 판단해 수락한 듯 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삼성 역시 정부3.0 앱이 강제성을 띈 선탑재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본부 사장은 지난 11일 서울 강남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갤노트7 한국 미디어데이'에서 "정부 3.0 앱은 무조건 선탑재가 아니라 폰을 처음 셋업하는 과정에서 선택할 수 있다"며 "소비자들이 다운로드 할지 말지를 소개하는 역할만 한다"고 해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