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13개월 만에 회견장 선 김무성, 무슨 말했나


입력 2016.08.26 11:13 수정 2016.08.26 11:15        고수정 기자

콜트악기 노조 관련 허위 발언 공개 사과

"해당 문제 해결 관심 갖고 노력할 것"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가 26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콜트악기 해고 노동자들과 함께 한 기자회견에서 '콜트 악기' 노동조합에 대해 공개사과를 하고 있다. 김 전 대표는 1년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강성노조 때문에 기타 제조업체 콜트악기가 망가졌다”는 자신의 발언에 대해 서울남부지법의 '콜트악기 노조에 공개 사과하라'는 강제조정 결정에 따라 “콜트악기와 콜텍의 페업이 노조 때문이라는 잘못된 사실 발언으로 두 회사에서 부당하게 해고를 당하고 거리에서 수많은 시간 동안 고통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는 노동자들에게 큰 상처를 준 점에 대해 사과한다”고 공개 사과 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콜트악기 노조 관련 허위 발언 공개 사과
"해당 문제 해결 관심 갖고 노력할 것"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가 26일 13개월 만에 공식 기자회견 무대에 섰다. 김 전 대표는 약 1년 전 콜트악기 노조를 허위사실로 비난한 데 대해 공식사과 했다.

김 전 대표는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콜트 악기 노동자를 향해 “공식석상에서 발언할 때에는 신중하게 사실관계를 확인했어야 하나 그렇게 하지 못한 잘못이 있다”고 사과했다.

앞서 김 전 대표는 지난해 9월 3일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노동개혁과 관련해 “기업이 어려울 때 고통을 분담하기는커녕 강경한 노조가 제 밥그릇 늘리기에만 골몰한 결과 건실한 회사가 아예 문을 닫는 사례가 많다”고 말하며 ‘콜트 악기’와 콜텍 노조를 비난했다.

하지만 김 전 대표의 주장과 달리 ‘콜트 악기’는 사측의 생산기지 해외이전을 비롯한 복합적 원인으로 폐업했다. 이에 노조는 허위사실 유포혐의로 김 전 대표에 3000만 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낸 것과 동시에 여의도 당사 앞에서 김 전 대표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며, 현재까지 327일째 천막농성을 하고 있다. 서울남부지법은 지난 16일 김 전 대표에게 노조에 공식 사과하라며 강제조정 결정을 내렸다.

김 전 대표는 “해당 발언은 2015년 9월 2일자 모 언론의 기사에 상세히 보도된 내용을 보고 이를 기초로 발언한 것인데, 당해 언론이 사실 관계를 잘못 파악해 보도함으로써 나중에 정정보도를 했다”며 “그 언론의 보도가 있었다하더라도 제가 공식석상에서 발언할 때에는 미리 신중하게 사실관계를 확인했어야 하나 그렇게 하지 못한 잘못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당해 언론의 정정보도가 있고 나서 사실관계를 확인해보니, 콜트악기와 콜텍의 폐업이 노조 때문이라는 잘못된 사실의 발언으로 인하여 두 회사에서 부당한 해고를 당하고 거리에서 수많은 시간 동안 고통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는 노동자들에게 큰 상처를 준 점에 대해 사과한다”며 “당해 언론의 보도 내용과 이에 기초한 본인의 발언으로 최근 콜트콜텍기타노동자들에 대하여 잘못된 사실들이 유포되고 있는 점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고개 숙였다.

그는 “저는 평소 소신인 노동개혁을 얘기할 때마다 늘 노동계와 함께하는 개혁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해왔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저도 새누리당과 국회를 통해 현재 우리 사회에서 가장 오랫동안 부당해고 때문에 고통 받고 있는 콜트콜텍기타 노동자들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고 노력할 것임을 밝혀둔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동행한 ‘콜트콜텍기타노동자 부당해고 문제의 사회적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김 전 대표의 공개적인 사과를 환영한다”며 “이번 사과를 계기로 콜트콜텍기타 노동자 부당해고 문제의 해결을 위한 희망을 가져보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3495일째 거리에서 싸우고 있는 콜트콜텍기타노동자들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최장기 부당해고 투쟁 사업장”이라며 “20대 국회가 민생을 최우선 과제로 삼은 만큼 이번 임기 내에는 우리의 문제를 꼭 해결해 더 이상 정리해고로 고통 받고 거리로 내몰리는 노동자가 없는 사회를 위해 힘써주시길 바란다”고 했다.

한편, 김 전 대표는 기자회견문 낭독 외에 별 다른 언급 없이 정론관을 빠져나갔다.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