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개회사 파문에 새누리, 이틀 연속 의장실 농성
<현장>입장 변화 없는 정세균에 뿔난 여당
잠긴 의장실 문 거세게 두드리며 압박
제20대 첫 정기국회 개회사에서 정세균 국회의장이 사드배치 반대,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사퇴, 고위공직자 비리 전담 특별수사기관 신설 등을 언급한 것에 여당이 집단 반발하며 의사일정이 중단된 가운데 전날에 이어 새누리당 의원들은 2일에도 의장실을 점거했다. 그러나 상황은 전혀 변함이 없었다.
전날 밤늦게까지 의장실을 항의 방문했던 새누리당 의원들은 이날 오전 10시 다시 모여 의원총회를 갖고 정 의장의 사과를 받아내기 위해 압박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국회는 (의원들이) 각기 자신들의 이해층을 대변하는 곳이고, 의장은 그것을 공정하게 조절하는게 의무"라며 "정 의장은 자신이 어제 했던 명백한 의회주의 파괴, 민생 추경 파괴에 사과하라"고 주장했다.
정 원내표는 "정 의장은 '사드 비판 발언이 국민 목소리를 대변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오히려 민의를 왜곡하는 망언"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이 G20 정상회의에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할 때 '귀국 국회의장이 반대하는 사드를 왜 배치하려느냐'고 는 질문을 받으면 무슨 대답을 하냐"고 지적했다.
이어 "정 의장은 중립 의무를 위반한 자신의 명백한 의회주의 파괴로 민생 추경을 망쳐 놓고도 그 책임을 여당에 돌리고 있다"며 "여당이 민생 추경 발목을 잡은 양 '추경을 처리하고 싶으면 본회의장에 들어오라'고 하는 것은 여소야대 상황에 처한 여당에 대한 농락이다. 진정 정 의장이 의회주의와 민생 추경을 위한다면 국민이 부여한 국회의장 자리를 비워주는 것만이 최소한의 진정성을 드러내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발언 직후 정 원내대표는 정 의장의 집무실로 향했다. 그 사이 의총장에서는 이정현 대표의 발언에 이어 의원들의 자유발언 순서가 이어졌다. 이 대표는 "누구보다 국회법 입법취지를 잘 아는 분이 즉흥 연설이 아닌 원고로 준비된 테러를 한 것은 국회와 국민을 무시하고 (자신의) 욕심과 야욕을 위함"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를 용납하고 그냥 넘어간다고 하는 것은 그 동안 눈물과 피와 땀으로 지켜온 의회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것이다. 용납해서는 안 된다"며 "우리는 사과를 받아내야 한다. 의장은 국민 앞에 사과하고 자신의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며 사실상 사퇴를 촉구했다.
염동열 의원은 "균이란 건 동식물에 기생해서 부패나 발효를 일으키는 단세포이다. 우리가 뽑을 땐 300명이 중립적 입장에서 좋은 발효균으로 정 의장을 뽑았다"며 "그런데 알고보니 악성균이었다. 이 대표가 말한대로 정치테러, 테러균이었다. 이 사회의 암과 같은 바이러스 균이다. 당장 사퇴하라"고 원색적인 비난을 퍼부었다.
10시 15분께 의장실로 들어간 정 원내대표는 약 20분 정도 정 의장과 대화를 나누었다. 비공개로 진행된 회동 중에는 정 원내대표의 큰 소리가 밖으로 새어나오면서 순탄치 않은 흐름이 짐작됐다.
이후 정 원내대표는 의총장으로 돌아와 정 의장과의 회동 결과를 보고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정 의장은 정 원내대표에게 새누리당이 문제 제기를 한 것에 대해 무겁게 받아들이며 전날 추경 처리가 무산돼 국민들께 송구하다는 입장을 표명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정 원내대표는 사과 문구에서 '국민들께'를 빼달라고 요구했으나 정 의장이 이를 거부했고 또한 본회의 사회권은 양도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해 합의엔 이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의장은 정 원내대표와 만난 이후 의장실을 빠져나와 장고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상황이 이렇게 흐르자 새누리당 의원들 사이에서도 '전날 입장과 달라진 게 하나도 없다'며 불만이 흘러나왔고 11시 50분께 의총장에 남아 있던 30여명의 의원 전원이 전날 밤과 마찬가지로 의장실을 방문했다.
그러나 이미 정 의장은 의장실을 빠져 나간 상황이었고 의장실 문은 굳게 잠겨 있었다. (들리는 이야기에 따르면 정 의장은 직원들에게 "절대 의장실 점거를 당해선 안 된다"고 주문했다고 한다.) 그러자 새누리당 의원들은 왜 문을 잠궜냐며 국회 직원을 찾아 나섰고 고함을 질렀다. 이채익 의원이 일선에 나섰고 그는 잠긴 문을 거세게 잡아당겼다. 분위기가 험악하게 흘러가려 하자 정 원내대표는 "부수진 마"라며 진정시키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현장에서 상황을 지켜보며 취재하던 취재진은 여당 의원들에게 정 의장이 지금 자리를 비운 상황이라고 전해주자 의원들은 순간 당황하면서도 물러나지 않았다. 오히려 정 원내대표는 의원들을 향해 "여기 벽에 기대고 앉아서 기다립시다"라며 농성을 주문했다. 그들은 12시부터 그렇게 뻗치기(취재 대상을 무작정 기다리는 전통적인 취재 기법을 뜻하는 언론계의 은어)에 들어갔다.
가만히 앉아 있기만 하지는 않았다. 의원들은 마치 필리버스터를 연상시키듯 끊기지 않게 한 명씩 돌아가며 일어서서 정 의장을 비판하는 내용의 자유 발언을 이어갔다. 여기엔 정 원내대표와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 김진태이철우정태옥 의원 등이 나섰고 도중에는 민경욱 원내대변인의 주도로 "의회주의 파괴한 정세균 국회의장은 즉각 사퇴하라", "중립의무 안 지킨 정세균 의장은 국민 앞에 사과하라", "추경 처리 급하다. 의사봉을 넘겨라"라는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뻗치기에 들어간 지 30분 여 지나면서 김 원내수석이 이인용 국회 사무차장를 만나 "의장께 연락해 문을 열게 하라"는 대화를 나누기도 났지만 정 의장은 모습을 보이지 않았고, 결국 정 원내대표는 일단 다시 의총장으로 돌아가자고 외쳤다. 이들은 점심 식사를 한 뒤 2시부터 다시 모였고 현재 정 의장을 기다리며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