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추미애-김종인' 고리 '경제민주화'...실현할까 과연?


입력 2016.09.04 09:35 수정 2016.09.04 09:35        조정한 기자

추미애 "바톤 이어받겠다" 김종인 "경제민주화 프레임 이끌어야"

최운열 "경제민주화, 공약으로만 굳혀진다면 집권 방법 찾을 것"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1일 오전 서울 중구 한 식당에서 열린 전·현직 지도부 조찬에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 대표와 대화하고 있다.ⓒ연합뉴스

추미애 "바톤 이어받겠다" 김종인 "경제민주화 프레임 이끌어야"
최운열 "경제민주화, 공약으로만 굳혀진다면 집권 방법 찾을 것"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신임 당대표는 '경제민주화'로 수권정당을 만들 수 있을까. 당안팎에선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경제 이슈로 총선 승리를 견인한 만큼 내년 대선까지 중요한 역할을 할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결국 추 대표가 집권을 위해선 미우나 고우나 김 전 대표를 예우하고 경제민주화를 적극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대표에 날을 세웠던 추 대표는 지난 1일 '전현직 지도부 조찬'에서 사과를 건네며 화해무드를 조성했다. 추 대표는 전대 과정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탄핵 책임을 김 전 대표에게 물은 것에 대해 "그간 잘 되자고 한 이야기가 정돈이 안 된 채로 흘러갔다면 (김 전 대표께서) 이해를 좀 해달라"고 양해를 구했다. 김 대표는 전당대회 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추 대표에 대해 "감정적으로 안 좋을 것 까진 없지만 (탄핵 이야기는) 거짓말을 한 것이다"라고 앙금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추 대표와 김 전 대표의 화두는 역시 경제였다. 추 대표는 "바톤을 이어받아서 지지자들에게 안정감을 드리겠다"며 "목표는 집권이니까 대표님께 수시로 고견을 여쭙겠다. 많은 지도편달을 부탁드리겠다"고 했다. 김 대표는 "3당이 경쟁했지만 뚜렷한 슬로건을 제시해 선거한 정당이 없었다"며 "우리당은 경제민주화 프레임이 완성돼 있다. 관련 상징 법안을 반드시 통과시키고 이끌면 대선까지 무리 없이 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의견을 주고받았다.

문제는 추 대표가 경제민주화를 집권 수단으로만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책임 있게 완수할 수 있는지다. 김 대표는 지난 대선 당시 박근혜 캠프의 경제민주화 공약을 설계했지만 강한 반발에 무산됐던 경험이 있다. 이 때문에 그는 더민주에서 여러 차례 "경제민주화를 입으로만 외치지 말고 이에 혼신 하는 인상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또한 김 대표는 사석에서 "본인이 (경제민주화를) 모르면 아는 사람을 찾기라도 해야 하고 실천 의지가 중요하다"며 지도부의 리더십을 경제민주화 실천 덕목으로 꼽기도 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신임 지도부와 함께 나와 인사말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일단 당내에선 추 대표가 경제 이슈에 관심이 많다고 평가한다. 실제로 그는 지난 2015년 8월 당시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민주)에서 경제정의노동민주화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노동개혁과 재벌개혁을 추진하기도 했다.

당시 함께 활동했던 김성주 호남특보는 '데일리안'과의 전화통화에서 "(추 대표는) 경제를 발전시킬 새로운 산업과 성장전략에 대해 관심이 있었고 경제민주화와 노동권 보호에 대해서도 확고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며 "선거 과정에서 김 대표와 각을 세우기도 했지만 경제민주화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공감하고 지지할 것이다"라고 내다봤다.

더민주 경제민주화 TF에서 단장을 맡았던 최운열 의원 또한 추 대표가 외연 확장을 위해서라도 김 대표와 손을 잡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2일 '데일리안'과의 인터뷰에서 "궁극적인 목표는 집권인데 소위 '친문(친 문재인)' 일색인 당에서 30~40% 이상의 지지율을 끌어내기 위해선 중원(中原)을 공략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라며 "특히 야당은 새누리당과 달리 예전부터 경제민주화 깃발을 들고 외쳐왔다. 어제 전현직 지도부가 만나는 것을 보면 서로 필요성을 느낀다는 것이다"라고 분석했다.

최 의원은 당에서 경제민주화를 공약(空約·헛되게 약속함)으로만 이용할 경우 다른 방향을 찾아 나설 수 있다는 경고도 덧붙였다. 그는 "지금은 당이 경제민주화를 적극적으로 접근할 거라고 긍정적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만약 언론에서 우려한 대로 공약으로만 굳어진다면 집권할 수 없으니 집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런 상황은 오지 않길 바란다"고 했다.

한편 더민주는 이날 오후 열린 '정기국회 대비 의원 워크숍'에서 정기국회를 맞아 각 상임위별 주요 추진 법안 중 '더불어 민생행복 76개 법안'을 선정했다. 경제민주화 경제살리기 법안은 총 23개로 경제민주화(11개) 경제살리기·일자리 창출법(9개)으로 구성됐으며 재정 건전화법(3개)엔 법인세율을 현행 22%에서 25%로 인상하는 '법인세법'도 포함됐다.

조정한 기자 (impactist9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정한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