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버스·화물 등 비상수송대책 마련…대체인력·수송수단 투입
철도·버스·화물 등 비상수송대책 마련…대체인력·수송수단 투입
국토교통부는 철도노조가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하며 27일 파업을 예고한 것과 관련해 철도노조에 “철도공사가 공적기관으로서의 무거운 책임감과 견실한 노사 간 협력체계를 토대로 안전한 철도구현을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다해야 한다”며 파업 철회를 촉구했다.
또 한편으로는 철도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것에 대비해 국방부, 지자체, 부산시, 철도공사, 버스·화물 등 운송 관련단체가 참여한 관계기관 회의를 통해 정부합동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국토부는 파업 시 대체인력·수송수단을 투입해 KTX와 전철 등은 정상 운행시키겠다는 방침이다.
비상수송대책으로 우선 출퇴근 교통 불편이 없도록 전동차는 대체인력을 우선 투입해 평시와 같은 운행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원활한 중장거리 여객 수송을 위해 KTX도 정상 운행할 계획이다.
필수유지인력으로만 운영돼 운행률이 60% 수준으로 줄어들게 되는 새마을호와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에 대해서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추가로 투입하거나 운행횟수를 늘리는 등 대체교통수단을 확보키로 했다.
운행률이 30%대로 떨어지는 화물열차의 경우 파업 이전에 미리 수송하고, 파업 중에는 특수·긴급화물을 우선 처리하면서 컨테이너트럭 등을 확보해 화물차량으로 운송하는 방안을 지원한다.
파업이 장기화돼 통근·광역열차 운행에 차질이 예상되면 버스노선 연장·증편 운행, 택시부제 해제 등을 통해 출퇴근 교통난을 최대한 줄인다는 계획이다.
중장거리 지역 간 여객수송은 평상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의 여유좌석과 예비 편성해 투입하고, 항공기의 여유좌석 등을 활용하는 등 교통상황에 따라 필요시 추가 증편운행 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25일부터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며, 서울 지하철노조와 부산 지하철노조도 27일 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지자체와 함께 대체인력을 활용한 열차운행계획과 버스 증편운행 등 비상수송대책을 수립·시행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파업시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며,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