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탄핵표결 D-1] 친박, '폐족' 불안...마지막 물밑 설득 사활


입력 2016.12.08 16:43 수정 2016.12.08 16:50        고수정 기자

비박도 우려하는 탄핵 사유 '세월호 7시간' 언급해 표심 자극

중립 성향 의원에 '회유 전화'…무리한 주장에 의총서 설전도

새누리당 친박계가 마지막 몸부림을 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가결은 곧 친박계의 ‘폐족(廢族)’이다. 이 때문에 탄핵안 표결을 하루 앞둔 8일 당 내의 탄핵 반대 세력을 키우기 위한 물밑 설득 작업이 치열하다. 사진은 이정현(오른쪽) 대표와 조원진 최고위원이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굳은 표정을 짓고 있는 모습.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비박도 우려하는 탄핵 사유 '세월호 7시간' 언급해 표심 자극
중립 성향 의원에 '회유 전화'…무리한 주장에 의총서 설전도

새누리당 친박계가 마지막 읍소에 나서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가결은 곧 친박계의 ‘폐족(廢族)’이다. 이 때문에 탄핵안 표결을 하루 앞둔 8일 당 내의 탄핵 반대 세력을 키우기 위한 물밑 설득 작업이 치열하다.

친박계로 이뤄진 지도부는 이날 최고위원 간담회를 열어 탄핵 대책 마련에 나섰다. 탄핵보다는 박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 즉 ‘4월 퇴진·6월 대선’이 적절하다는 주장을 거듭 강조했다. 특히 이들은 탄핵 부결에 대한 당위성을 설명하며 야당이 탄핵 사유로 포함키로 한 ‘세월호 7시간’을 언급했다. 비박계가 이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는 점을 자극한 것이다. 또한 사건의 발단이 된 태블릿 PC의 실체에 대한 의혹도 제기했다.

이정현 대표는 “지금이라도 탄핵 중지시키고 ‘4월 퇴진·6월 대선’으로 가는 부분에 대해서 국회가 한 번 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전날에도 기자들과 만나 “솔직히 (탄핵안이) 부결됐으면 좋겠다”고 말한 바 있다.

조원진 최고위원도 “4월 퇴진과 6월 대선이라는 당론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꼭 탄핵으로 가는 것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맞는 것인가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며 “이런 부분에 대해 새누리당, 특히 비박계에게 적극 말해 동의를 구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금 야당이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탄핵 사유는 세월호 문제”라며 “탄핵이 쉽게 (가결)되리라 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지도부의 이 같은 주장은 이날 오후 열린 의원총회에서까지 이어져 비박계와 설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특히 지도부는 “최순실이 박 대통령에게 제공했다는 100여 벌의 옷과 30~40개 가방을 최순실이 대납한 거라면 ‘명백한 뇌물죄’”라는 새누리당 소속 최순실 국정농단 게이트 국정조사 여당 위원들의 발언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국조특위 위원장인 김성태 의원은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당 지도부가 새누리당 국조위원들의 적극적인 심문 조사에 대한 상당한 불만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고, 황영철 의원도 “아직도 정신 못 차리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고 비난했다.

친박계, 특히 당 지도부와 중진 의원들은 탄핵 의사를 명확히 정하지 않은 중립 성향의 의원 또는 초선 의원들을 상대로 직접 설득 작업에 나섰다. 반대표 행사를 당부한 것이다. 탄핵에 찬성하는 비박계 의원들 일부에게도 회유 전화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혜훈 의원은 전날 TBS라디오에서 “실제 몇몇 분들은 전화를 받았다. (전화를 받은 복수의 의원이) 굉장히 속상해한다”며 “(저에게는) 협박은 아니었지만 박 대통령을 생각하면 탄핵을 해선 안 되지 않겠느냐는 정도의 언급이 있었다”고 전했다.

다만 친박계 내부에서도 이탈자가 생기고 있고, 부결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분위기가 형성돼 있다. 그럼에도 이 같은 몸부림은 표결 결과에 따라 친박계의 정치적 입지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탄핵안이 압도적인 표차로 가결될 경우 당 주도권은 비박계에 넘겨줄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하지만 탄핵안이 가결 기준선인 200표를 간신히 넘기거나, 부결된다면 친박계는 비박계를 제외하고 중립 성향의 의원들과 함께 당 주도권을 재장악할 수 있다.

여권 관계자는 본보에 “친박계가 정치적 노선이 아닌 ‘박근혜 브랜드’로 뭉친 집단이기 때문에 대통령이 정치적 사망 선고를 받는다면 친박계도 폐족할 수밖에 없다”며 “온갖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고 있지만, 비박계와 중립 성향의 의원들이 흔들릴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