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주택가격 0.71% 상승…전세 1.32% 올라
매매가격 상승률이 2015년과 비교할 때 5분의 1 토막난 것
11·3 대책과 부동산 관리방안 발표 이후 상승폭이 줄어
지난해 전국 주택시장은 매매와 전세 모두 대체로 안정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감정원은 지난해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전년도에 비해 0.71%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4년의 1.71%, 2015년의 3.51%에 비해 오름폭이 둔화한 것이다.
11·3 대책과 부동산 관리방안 발표 이후 상승폭이 줄어들었고 조선·철강 등 산업경기 침체에 따른 영향도 적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지방의 경우엔 입주물량 증가와 조선·해운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줄곧 약세가 이어졌다.
지역별로 수도권이 1.32%, 지방이 0.17% 각각 상승했다.
제주도가 4.63%로 가장 큰 폭으로 올랐고 부산(3.18%), 서울(2.14%), 강원(1.33%) 등지도 가격이 상승했다.
이에 비해 신규 주택 입주가 몰린 대구(-1.84%), 경북(-1.66%), 충남(-1.51%) 등지는 하락했다.
유형별로는 2015년에 4.89% 올랐던 아파트가 지난해는 0.76% 상승했고, 단독주택(0.76%)과 연립주택(0.41%) 오름폭도 각각 2015년에 비해 둔화됐다.
전세시장은 수도권 신도시를 비롯해 입주물량이 증가하면서 예년에 비해 안정된 모습이었다.
지난해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2015년(4.85%)보다 낮은 1.32% 상승했다.
세종시가 4.0%로 가장 많이 올랐고 부산(2.90%), 인천(2.25%), 경기(2.06%) 등의 순으로 상승했다.
이에 비해 대구(-1.59%), 경북(-1.08%), 충남(-0.96%) 등은 매매와 함께 전세도 약세를 보였다.
지난 2015년 7.25% 올랐던 서울의 전셋값은 지난해 1.95%로 오름폭이 크게 둔화됐다.
유형별로는 아파트(1.89%), 연립주택(0.72%), 단독주택(0.36%) 순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월세는 보증금 비중이 높은 준전세가 0.67% 상승했으나 보증금 비중이 작은 월세와 준월세는 각각 0.66%, 0.36% 하락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