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 '전국 햇반 지도' 공개…서울 잡곡밥, 부산·경남 컵반 인기
최근 5년간 '햇반'과 '햇반 컵반' 지역별 소비패턴 분석
CJ그룹 계열사 CJ제일제당이 운영하는 브랜드 햇반에서 최근 5년간의 전국 지역별 판매량을 토대로 만든 '전국 햇반 지도'를 공개했다.
11일 CJ제일제당은 지난 2012년부터 지난해 11월말까지 약 5년간의 지역별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 전국에서 경기·강원 지역이 약 1억7400만 개가 넘는 판매량으로 전국 판매량의 32.4%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뒤이어 서울 지역(1억2900만 개), 부산·경남, 대구·경북 등 순이었다. 부산·경남의 경우 전체 판매량은 3위였지만 1인당 판매량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13.5개였다.
조사 기간 동안 햇반과 햇반 컵반의 전체 판매량은 약 5억 4000만 개였는데, 이는 20년간의 누적 판매량 17억 개중 약 3분의1에 달하는 수치다. 지난 2015년 4월 출시된 햇반 컵반은 월별 판매량(전체 판매량/20개월)이 약 80만 개에 이르며 햇반 잡곡밥의 월별 판매량(약 100만 개)을 곧 따라잡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햇반의 첫 출시 당시보다 더 빠른 판매 속도다.
대부분 지역에서 인구 수와 판매량이 비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서울과 부산·경남의 경우 인구 비중에 비해 햇반과 햇반 컵반을 구매하는 비중이 더 높았다. 이는 대도시 특성상, 대형마트 등 상품밥 구매 경로가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상품밥의 주요 소비층인 1~2인 가구의 증가가 많았던 지역이기도 하다.
서울은 다른 지역에 비해 잡곡밥 판매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서울의 햇반 잡곡밥 판매량은 약 1600만 개였는데 이는 인구 수에서 서울보다 약 7백만 명 이상 많은 경기·강원 지역과 비슷하다. 인구 1인당 잡곡밥 소비량은 약 1.6개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서울의 경우, '간편하면서도 건강한' 햇반 잡곡밥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부산·경남 지역은 햇반 컵반의 1인당 판매량이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편의점 등 판매처가 많다는 이유 외에도 부산과 해안 지역 여행객들의 현지 구매가 더해진 결과다. 부산·경남이 상품밥과 간편식 문화가 가장 폭넓게 확산된 지역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 대목이다.
CJ제일제당은 이번 조사를 통해 햇반의 수요가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했다. 대전·세종, 충청, 광주·전라 지역의 1인당 햇반·컵반 구매량은 전국 평균(10.6개)보다 낮은 8.8개로 나타났지만, 1인 가구의 비중은 수도권보다도 높았다. 앞으로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중장년층 1~2인 가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향후 상품밥 업계가 ‘부모님께 상품밥(간편식)을 선물하는 캠페인’이나 중장년층 대상의 소비자 인식 개선 활동 등을 적극적으로 펼친다면 소비층이 확대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
김병규 CJ제일제당 편의식마케팅담당 부장은 "전국 판매현황을 조사하면서 대도시를 중심으로 ‘햇반의 일상식화’가 상당 부분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며 "전국의 모든 소비자가 햇반을 일상생활의 일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