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영장여부 16일 발표…삼성, 컨트롤타워 붕괴 우려
그룹 경영 향배 달려 있어…주말내 비상근무 체제 유지
재계 "국정농단 수사 아닌 삼넝특검 편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사전구속영장 청구 여부가 16일로 미뤄진 가운데,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이하 미전실)은 주말인 15일에도 비상근무체제를 유지하면서 특검의 수사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은 지난 12일 이 부회장이 박영수 특검팀에 출석하기 직전부터 이날까지 비상근무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특검의 사법처리 수위에 따라 삼성그룹의 경영방향이 달려있는 탓이다.
당초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발부 여부는 지난 14일에 발표될 것이 유력 했다. 그러나 특검측은 법리 등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기한을 재차 연기했다.
이에대해 삼성그룹 관계자는 “특검측이 내일(16일) 브리핑 이전에는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발언한 만큼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다만 "특검이 국가 경제 등 여러 가지를 두루 살펴서 신중하게 결정을 내리겠다는 뜻으로 풀이돼 그나마 다행"이라며 "아무쪼록 (이 부회장 등에 대해) 불구속 수사가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특검은 이날 이 부회장 외에 최지성 부회장, 장충기 사장, 박상진 삼성전자 대외담당사장도 일괄 사법처리한다고 밝혔다. 이 부회장을 비롯한 미전실 수뇌부까지 사법처리될 경우 삼성 계열사 전략을 조율하는 삼성그룹의 컨트롤 타워는 사실상 붕괴된다.
삼성 관계자는 "올 한 해의 사업과 투자 계획을 세우고 점검해야 하는 날들을 안타깝게 흘려보내고 있다"며 "기업이 제 역할에 복귀할 수 있도록 특검이 하루빨리 현명한 처분을 내려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재계는 삼성 외에 특검의 수사 선상에 오른 것으로 알려진 다른 기업들에 대한 조사까지 모두 마친 뒤에 한꺼번에 일괄 처분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뜻을 내비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진행된 특검의 수사를 보면 국정농단 사건에 대한 수사라기보다는 제2의 삼성 특검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편중된 듯하다"며 "최순실 씨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조사까지 하고 나서 사건의 실체를 규명한 뒤 법적 책임을 져야 할 사람을 선별해 처벌하는 게 올바른 수순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한편 이 부회장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국민연금관리공단으로부터 지원을 약속 받는 대가로 최순실 씨와 그의 딸 정유라 씨, 미르· K스포츠재단 등에 수백억원을 지원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또한 국회 국조특위 청문회에 참석해 최 씨를 알지 못하고 대가성을 바라고 지원한 것은 아니었다고 증언한 것에 대해 위증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