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국민의당 지도부 남은 티켓 2장, 지명직 최고위원은?


입력 2017.01.16 18:44 수정 2017.01.16 18:47        전형민 기자

키워드는 '지역안배', '성비불균형', '원외'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가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첫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고위원들의 발언을 듣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키워드는 '지역안배', '성비불균형', '원외'

'총선 리베이트 의혹' 이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유지하던 국민의당이 박지원 전 원내대표를 당대표로 선출하고 당 추스르기에 나섰다. 선출직 최고위원과 4명의 당연직 최고위원(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여성위원장, 청년위원장)이 전부 결정됨에 따라 정치권의 관심은 2명의 '지명직 최고위원'에 모아지고 있다.

국민의당은 당헌 제28조 4항에 '당대표는 최고위원과 협의하여 최고위원 2명을 지명한다'고 명시해 2명의 '지명직 최고위원'을 선출한다. 대체로 '지명직 최고위원'은 구성된 최고위원들의 연령, 성별, 지역 등을 고려해 지명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역대 정당들은 '지명직 최고위원'의 지명권을 당대표의 권한강화를 위해 사용해왔다.

특히 지도부가 구성되고 첫 회의인 16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문병호·김영환·황주홍 최고위원이 박지원 대표와 설전을 주고 받는 등 박 대표의 최고위 내 지위가 크게 흔들리는 것으로 보여 당대표가 임명하기로 돼있는 '지명직 최고위원' 임명이 더욱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당내에서는 지명직 최고위원 2명 중 한 명은 반드시 여성으로 해야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 선출직 최고위원 5명이 전부 남성이기 때문이다. 한 당 관계자는 "현재 최고위원의 성비가 7대 2로 극히 남성 편향적이기 때문에 여성 최고위원의 지명이 가장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최고위원을 원내에 국한할 경우 선택지는 극히 좁아진다. 당내 여성 의원 중 유일한 지역구 의원인 권은희 의원은 이번 시도당 개편 대회에서 광주광역시당 위원장으로 선출됐고 재선 비례 의원인 박선숙 의원도 1심 무죄 판결로 숨통을 틔웠으나 여전히 당원권 정지상태다.

초선 여성 비례대표를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인선할 경우, 신용현 의원이 이번 전대를 통해 당연직 최고위원(전국여성위원장)으로 선출됐기 때문에 원외 위원장들의 불만이 고조될 수도 있다.

원외로는 고연호 수석대변인 직무대행이 가장 먼저 눈에 뛴다. 지난해 총선, 수도권에서 석패하고 당 대변인직을 맡은 고 대변인은 비록 원외이나 원내 활동을 지속해온 점과 그간 당의 대변인으로서 인지도를 쌓아온 점, 지난 8개월간 대변인으로서 당무를 지속적으로 맡아왔다는 점에서 당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명직 최고위원의 남은 한 자리는 지역안배가 가장 핵심이 될 전망이다. 박지원 대표의 당대표 당선으로 박 대표(전남 목포)와 주승용 원내대표(전남 여수), 조배숙 정책위의장(전북 익산)등 국민의당 지도부는 표면적으로 호남 출신 의원들로 채워졌다. 따라서 당내에서는 원외 인물이나 당외의 인물이더라도 지역을 안배할 수 있는 인물에게 최고위원 지명권을 행사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와 관련 문병호 최고위원은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아직 구체적인 이야기가 오가는 것은 없다"면서도 "여성이 2명이지만 부족한 것이 사실이고 특히 영남 지역에 대한 안배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박지원 대표 측은 일단 지명직 최고위원에 대해 "지역균형, 세대균형을 고려해 지명할 것"이라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폭 넓게 보고 있다"고 밝혔다. 지명 시기에 대해서는 "이번 주말께 지명될 것으로 보인다"고 귀띔했다.

전형민 기자 (verdant@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전형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