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민주당 정당지지도 39.5% 선두 지켜, 40%대 육박


입력 2017.02.01 10:54 수정 2017.02.01 10:54        이슬기 기자

TK 제외 전 지역에서 1위 기록

새누리당 '박 대통령 인터뷰' 효과로 TK서 숨통

새누리, TK서 6.4%p 올라 31.1% 기록…30%대 회복

민주당이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 39.5%를 기록해 선두를 지켰다. ⓒ데일리안

조기 대선 정국에서 더불어민주당의 대세론이 더욱 견고해지고 있다. 전통적 보수 지지층인 60세 이상·TK(대구경북)를 제외한 모든 지역과 연령층에서 정당 지지도 1위를 기록하며 선두를 지켰다.

데일리안이 의뢰해 여론조사 기관 알앤써치가 무선 100% 방식으로 실시한 2월 첫째 주 정례조사에 따르면, 민주당은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 39.5%를 기록해 새누리당(14.2%)을 25.3%p 차이로 크게 앞섰다. 국민의당은 8.9%, 바른정당은 7.2%, 정의당은 4.0%였다.

특히 연령별 조사 결과, 민주당은 60세 이상에서 17.8%를 얻은 것을 제외하고는 △20대 45.0% △30대 53.9% △40대 51.8% △50대 34.2%를 기록해 모든 연령층에서 선두를 달렸다. 50대와 60세이상에선 각각 25.7%, 24.8%가 지지정당이 없다고 밝혔다.

지역별 조사에서도 민주당은 TK(17.1%)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서울과 경기·인천에서 각각 43.0%와 47.2%, 전남·광주·전북에서 41.3%로 나타났다. 또한 대전·충청·세종 37.1%, 강원·제주 36.9%, 부산·울산·경남 36.2%를 기록했다.

추락을 거듭하던 새누리당도 일단 숨통이 트였다. 정당 지지율 조사 결과 전주(12.5%)보다 소폭이지만 상승세를 보였고, 텃밭인 TK에선 전주(24.7%)대비 6.4%p 오른 31.1%를 기록하면서 30%대를 가까스로 회복했다.

반면 제3지대 주도권을 노리며 '빅 텐트'론을 적극 펼치고 있는 국민의당은 심장부인 호남에서 지지율이 '반토막' 났다. 지난 조사에서 24.0%를 얻었지만, 이번 조사에선 호남 응답자의 13.0%만이 국민의당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국민의당의 이러한 급락에는 △정권교체 가능성이 더 큰 정당에 표를 몰아주자는 호남의 심리와 △여야를 넘나드는 각종 연대론으로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는 국민의당에 대한 피로감이 작용했다는 게 전문가의 분석이다.

김미현 알앤써치 소장은 “일단 호남에서는 정권교체에 대한 열망이 엄청나기 때문에 말 그대로 ‘되는 정당’에 몰아주려는 것”이라며 “지금 국민의당이 말하는 ‘제3지대’라는 것이 반기문, 김종인, 정운찬 등 문재인 빼고 다 들어오라는 것인데 정작 표심을 끌 신선한 인물이 없지 않나. 그렇다고 자신만의 정체성을 갖고 있는 것도 아니고, 유권자의 피로감이 더 높아진 결과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TK에서 새누리당의 지지율이 상승한 것은 설 연휴 직전 박근혜 대통령의 인터뷰 효과라고 분석했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 25일 보수진영 인터넷 팟캐스트 ‘정규재TV'와의 인터뷰를 공개했다.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이번 사건은 누군가가 기획하고 관리한 것 같다”며 국정농단 사건의 모든 증거를 부인, 음모론을 제기했다.

김 소장은 “설 직전 대통령 인터뷰 효과로 TK에서 지지율이 올랐고, 그것을 고스란히 황교안 대통령 직무대행이 받아가고 있다”면서 “물론 헌재가 탄핵을 어떻게 할지에 따라 또 달라지겠지만, 반기문이 너무 망가지고 있고 대안세력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황교안과 새누리당에 대한 지지가 점차 올라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을 대신할만한 카드로 보수 진영에서 주목 받고 있는 황 권한대행의 경우, 당분간 문재인·이재명·반기문·황교안 간 4자 대결에서 10%대 초반까지는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1월 29일부터 30일 이틀간 전국 성인 남녀 114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전체 응답률은 5.5%고 표본추출은 성, 연령, 지역별 인구 비례 할당으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의 신뢰수준에 ±2.9%p다. 통계보정은 2016년 7월말 행정자치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를 기반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했다. 그 밖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국민들은 지금'을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