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북인권단체, '장성택 처형' 가해자로 김정은 고발한다


입력 2017.02.11 07:00 수정 2017.02.11 07:37        하윤아 기자

탈북민단체, 13일 장성택 사건 관련 대량학살 증거 ICC에 전달

강철환 "1000여명 처형·고문, 친척 등 2만여명 피해 추정"

사진은 북한이 공개한 지난 2013년 12월 12일 국가안전보위부(현 국가보위성) 특별군사재판을 받기 위해 재판장으로 끌려들어오고 있는 장성택의 모습. ⓒ연합뉴스

탈북민단체, 오는 13일 장성택 사건 관련 대량학살 증거 ICC 전달
"1000여명 처형·고문, 친척 등 2만여명 피해입은 것으로 추정"


탈북민단체가 지난 2013년 장성택 처형 사건에서 비롯된 반인도범죄의 가해자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고발한다.

탈북민단체 북한전략센터·NK워치·북한민주화위원회는 오는 13일 네덜란드 헤이그에 위치한 ICC를 방문해 장성택 처형 사건에서 비롯된 집단학살 등에 대한 관련 자료를 제출하고 수사를 촉구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이들 단체는 "장성택이 맡았던 노동당 행정부가 (그의 처형 이후) 통째로 숙청대상이 되면서 수백명이 처형당하거나 수용소에 끌려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며 "김철 인민군 부총참모장이 90발의 총탄세례를 받는 처형을 당했고, 리용하 당 제1부부장과 장수길 당 부부장 등의 처형이 단행된 이후 60여명의 고위층 간부들이 고사포에 의해 처형을 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일성으로부터 시작된 3대 세습왕조가 자행한 처형은 정적에 대한 학살 수준이며, 특정 계층에 대한 인종청소와 같은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국제사회는 더 이상 이러한 살육만행에 대해 침묵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강철환 북한전략센터 대표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자체 조사결과 장성택 처형 사건으로 대략 1000여명이 처형·고문·추방을 당하거나 정치범수용소에 수용된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과 친척까지 포함하면 피해를 입은 사람이 2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전략센터는 최근 입국한 태영호 전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공사를 포함한 고위층 탈북민 6명을 대상으로 서면 및 대면 조사를 진행해 장성택 처형 사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단체는 이 과정에서 확보한 증언자들의 공통된 진술을 바탕으로 내용을 종합해 공식적으로 ICC에 고발할 방침이다.

증언자들은 △북한이 주장한 장성택 사건 판결 내용은 날조된 것이라는 점 △노동당 행정부와 산하 54부가 해산됐고, 구성원들은 업무정지 상태에서 숙청 대상이 되었다는 점 △처형자 선별 기준은 혈연 또는 업무상 관련성이며, 범법행위가 아닌 자의적인 기준으로 집단학살을 당했다는 점 △처형자의 가족은 사회와 완전히 분리됐다는 점 △처형자로 분류되지 않은 자들은 정치범수용소 수용 또는 강제 이주됐다는 점 △장성택 처형 사건의 가해자는 김정은이라는 점 등에 대해 공통된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 대표는 "북한이 장성택 처형을 공개적으로 인정했다는 것 자체가 강력한 증거물이며, 권력의 핵심에 있던 분들의 증언 등 확실한 증거를 제시할 수 있는 학살사건이기 때문에 북한 반인도범죄를 입증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본다"며 "ICC가 이번 사건을 반드시 조사해서 김정은이 반인도범죄의 가해자라는 점을 입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여동생 김경희의 남편이자, 김정은의 고모부로 알려진 장성택은 반당·반혁명적 종파행위를 저질렀다는 이유로 지난 2013년 12월 처형됐다.

하윤아 기자 (yuna1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하윤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