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중소기업계 “근로시간 단축 합의 내용 수용 불가”


입력 2017.03.21 17:05 수정 2017.03.21 17:06        이광영 기자

“52시간 단축 합의, 중소기업 현실 철저히 외면한 것”

“52시간 단축 합의, 중소기업 현실 철저히 외면한 것”

중소기업계가 주 근로시간을 52시간으로 단축하겠다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여야 합의 내용에 대해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1일 ‘국회 근로시간 단축 합의안에 대한 중소기업계 입장’ 성명을 내고 “근로시간 52시간 단축 합의 내용은 중소기업의 현실을 철저히 외면한 것이므로 이를 도저히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그간 논의를 통해 중소기업계도 장시간 근로 관행의 개선 필요성은 공감한다”면서도 “인력 부족과 생산량 감소, 비용증가 등 중소기업 현실을 고려해 충분한 유예기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적용할 것을 요청해 왔다”고 덧붙였다.

중기중앙회는 “이번 국회 합의는 전체 사업장의 99.5%를 차지하는 300인 미만 기업을 대상으로 한꺼번에 근로시간 단축을 도입하고 4년의 유예기간도 면벌기간으로 민사책임은 즉시 발생하는 등 사실상 규모별 준비 단계를 두지 않은 것으로 실망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중기중앙회에 따르면 여야합의안은 지난 노사정 합의안에 포함된 주 8시간 특별연장근로 등 기업의 생산량에 따라 근로시간을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보완책조차 반영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최근 통상임금 범위 확대, 정년연장, 출퇴근재해 도입 등 기업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각종 노동현안을 감안할 때 급격한 근로시간 단축까지 더해진다면 중소기업은 생존을 우려할 처지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다.

아울러 중기중앙회는 “급격한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근로자 임금 감소 역시 고려해야 한다”며 “중소기업의 월평균 임금감소폭은 4.4%로 대기업 3.6%에 비해 더 높아, 영세사업장은 인력부족 현상을 해결하기가 더욱 어려울 것으로 예상돼 임금 격차로 인한 대기업 쏠림 현상도 가속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기중앙회는 국회가 다시 한 번 기업 현실에 대해 깊이 고민해주길 바라면서 세 가지를 요청했다.

먼저 근로시간 단축 적용구간을 기업규모별로 세분화해 6단계로 하고, 노사합의에 따른 특별연장근로 등 보완방안을 함께 시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인건비 상승과 장시간 근로 선호의 주 원인이 되고 있는 초과근로 할증률을 항구적으로 25%로 인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기중앙회는 “연장․휴일근로가 중첩될 경우 가산 수당에 대해 명확히 규정하되, 중복할증은 적용하지 않아야 한다”며 “유급 주휴일과 높은 할증률 등 휴일근로에 대한 보호가 이미 두터운 상황에서 중복할증까지 인정하게 되면 중소기업의 연간 부담액은 8조6000억원에 달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마지막으로 중기중앙회는 “국회는 선거를 눈앞에 두고 기업규제 강화 일변도의 포퓰리즘에 입각한 법개정 논의를 즉각 중단하고, 노동시장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는 노동법제 개혁에 나서야 한다”며 “근로시간 단축과 함께 논의돼 온 파견규제 완화, 임금체계 연공성 완화, 해고 유연화 등 저성장 시대에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선진적인 노동시장 조성을 위한 개혁을 적극 추진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광영 기자 (gwang0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광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