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욱 겨냥 ‘뻥축구’ 언제쯤 그만둘까
중국과의 원정경기서 패하며 본선행 먹구름
후반 투입된 김신욱 향해 의미없는 무한 크로스
슈틸리케호가 다시 김신욱을 향한 ‘뻥축구’를 구사하며 전술의 한계를 드러내고 말았다.
울리 슈틸리케 감독이 이끄는 축구대표팀은 23일(한국시각) 중국 창샤의 허룽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FIFA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중국과의 원정경기서 0-1 패했다.
이로써 3승 1무 2패(승점 10)째를 기록하며 승점 추가에 실패한 한국은 선두 이란(승점 11)을 제치는데 실패했다. 그나마 위안은 우즈베키스탄(승점 9)이 시리아에 0-1로 패해 2위 자리를 유지했다는 점이다.
대표팀은 전반 코너킥 상황에서 유다바오에게 선취골을 내주며 끌려갔다. 비록 리드를 내주긴 했지만 볼 점유율에서 크게 앞섰기 때문에 후반 들어 만회골을 넣을 여지는 충분했다.
슈틸리케 감독은 후반 시작과 동시에 승부수를 꺼내들었다. 바로 197cm의 장신 공격수 김신욱의 투입이었다. 그리고 언제나 그렇듯 김신욱을 향한 ‘뻥축구’가 시작됐다.
사실 김신욱은 감독들에게 ‘독이 든 성배’와도 같은 선수다.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극명하게 엇갈리기 때문이다.
김신욱은 타고 난 피지컬로 인해 타겟형 스트라이커에 어울릴 선수로 보이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 그는 머리보다 발로 컨트롤하는 기술이 더 뛰어나고 오히려 2선으로 내려와 움직임에 익숙한 선수다.
하지만 그동안 대표팀 지휘봉을 잡았던 감독들은 약속이라도 한 듯 김신욱을 원톱에 배치해 제공권을 활용한 리바운딩 슈팅을 주문했다. 물론 통할 때도 있었지만 몸싸움을 즐기지 않는 선수의 성향을 고려하면 실패로 귀결되는 횟수가 더욱 많았다.
이날 중국전도 마찬가지였다. 김신욱이 나오자마자 상대 역시 이를 간파한 듯 측면에서 크로스가 올라오면 부리나케 2~3명의 선수가 에워쌌다. 김신욱에게 상대 시선이 쏠려 또 다른 공간이 열릴 법도 했지만 문제는 크로스를 올리는 대표팀 선수들도 오직 김신욱만 바라봤다는 점이다.
중앙에서 빌드업 해나가는 과정도 문제다. 중국 수비수들은 측면 공격이 아니면 철저하게 김신욱을 방치했다. 대표팀 공격이 김신욱을 헤딩 경합에만 이용한다는 단조로운 전술을 간파했기 때문이다.
대표팀에서 후반 조커로 활용되고 있는 김신욱은 분명 위협적인 무기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김신욱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원톱이 아닌 투톱 체제로 가야한다는 것이 정설이다. 중원에서의 압박이 중시되는 현대 축구에서 투톱 포메이션은 이제 대부분의 팀들이 포기한 사장된 전술이다.
김신욱에게 맞는 옷인 2선 스트라이커로 배치하기에도 무리가 따른다. 구자철 등을 포함한 대표팀 주요 공격형 미드필더들과의 역할이 겹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해야 할 역할을 지닌 이가 바로 슈틸리케 감독이지만, 아직까지도 뚜렷한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