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주요 7개국 외교장관, 초강력 대북메시지 "핵실험 중단하라"


입력 2017.04.12 10:12 수정 2017.04.12 10:14        하윤아 기자

G7 외교장관회의서 공동성명 채택하고 북 핵·미사일 규탄

북 인권문제 해결 촉구…김정남 암살 화학무기 사용 우려도

11일(현지시각) 이탈리아 루카에서 열린 G7 외교장관회의에서 북한의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 중단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이 채택됐다.(자료사진) ⓒ연합뉴스

G7 외교장관회의서 공동성명 채택하고 북 핵·미사일 규탄
북 인권문제 해결 촉구…김정남 암살 화학무기 사용 우려도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 수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이 북한에 핵실험 중단, 추가도발 자제 등의 내용을 담은 초강경 대북 메시지를 내놨다.

G7 외교장관은 11일(현지시각) 이탈리아 루카에서 열린 G7 외교장관회의에서 시리아 사태와 더불어 북핵 위협을 주요 의제 중 하나로 논의한 뒤 공동성명을 채택해 북한의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 규탄했다.

G7 외교장관은 이번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 정권에 △추가적인 핵실험 및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탄도미사일 기술 관련 발사 행위 중단 △유엔 안보리 결의 준수 △핵확산금지조약(NPT) 및 IAEA 핵안전조치협정 복귀 등을 요구했다.

아울러 북한의 핵무기 보유에 대한 국제사회의 확고한 반대 입장을 재차 강조하면서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방법으로 폐기한다'(CVID)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성명에는 북한 내에서 지속되고 있는 광범위한 인권 침해와 북한 해외노동자 착취에 대한 우려와 함께 납치자 문제의 즉각적인 해결을 촉구하는 내용도 담겼다. 특히 G7 외교장관은 북한 당국이 민생에 필요한 국가 자원을 핵·미사일 개발에 전용하고 있다는 점을 성명에 명시해 비판했다.

이밖에 성명에는 지난 2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발생한 김정남 살해 사건에 화학무기가 사용된 데 대한 심각한 우려도 포함됐다.

이번 G7 외교장관의 공동성명 채택과 관련해 우리 정부는 적극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

외교부는 "지난주 미중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가 핵심 이슈로 집중 협의된 데 이어 이번 G7 외교장관회의에서도 강력한 북핵 문안이 도출된 것은 북한의 추가적인 고강도 전략도발 가능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경고메시지"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북한 정권은 이러한 국제사회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긴장을 조성하는 도발적 언사와 위협을 일체 중단하고,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포함한 대량살상무기(WMD) 개발을 즉각 포기해야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어 외교부는 "북한이 핵실험 및 ICBM 발사 등 고강도 전략도발을 감행한다면 안보리 제재 결의는 물론, 주요국 독자제재 등을 통해 북한정권이 감내하기 어려운 강력한 징벌적 조치가 따를 것"이라며 "정부는 관련국들과 이에 필요한 협의를 긴밀히 진행해 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윤아 기자 (yuna1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하윤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