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무역 해법은 현지투자?…철강 ‘미국법인’ 손실 확산
포스코 합작법인 UPI, 현지 공급 차질로 적자 지속
현대제철 가공센터, 관세 부과에도 공급…피해 누적
포스코 합작법인 UPI, 현지 공급 차질로 적자 지속
현대제철 가공센터, 관세 부과에도 공급…피해 누적
국내 철강업체들의 미국 내 투자 법인 실적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정책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지 투자 활성화가 떠올랐지만 결과적으로 업체들의 노력만으로 한계가 있다는 의문이 제기된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현대제철, TCC동양 등 국내 철강업체들이 투자한 미국 법인들은 최근 무역제재로 어려워진 경영 여건을 마주하고 있다.
포스코와 미국 US스틸의 미국내 강관 합작법인인 UPI(USS POSCO Industries)는 지난해 4분기 적자에 이어 올 1분기에도 적자를 지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그동안 UPI가 공급받던 포스코 열연강판 제품이 지난해 8월 60%에 이르는 반덤핑 관세를 부과 받아 사실상 공급이 끊겼기 때문이다.
UPI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적자를 이어갔지만 권오준 회장 취임 첫해인 2014년 흑자로 전환했다. 공장 가동을 위해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포스코 열연 대비 20~30% 비싼 US스틸 열연을 제품 생산에 투입했고 지난해 4분기부터 적자가 불가피했다.
현대제철 역시 현대자동차가 미국에서 가동 중인 앨러배마공장에서 가공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상황이 녹록지 않다.
열연·냉연 및 도금강판 등 대부분 차강판에 고율의 관세가 부과됐음에도 현대차 완성차 공장 가동을 원활히 하기위해서는 국내로부터 공급을 지속해야하기 때문이다.
미국 상무부는 앞서 현대제철이 수출하는 도금강판에 47.8%, 냉연과 열연에 각각 38.2%와 13.4%의 반덤핑 상계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향후 현대차 그룹 내에서 손실을 분담하더라도 관세부과 기간이 길어지는 만큼 피해가 증폭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표면처리 강판업체인 TCC동양의 미국 합작법인인 OCC는 최근 미국의 무역제재로 포스코로부터 석도용 원판(BP) 공급이 불가능해졌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대만 및 태국·중국에서 원자재 구매에 나섰으나 품질과 납기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지서 원자재 구매를 하고 싶어도 경쟁업체라는 이유로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가 불가능하다”며 “수출지역 다변화가 가능한 포스코와 달리 한국에서 원자재를 수입해온 업체들은 마땅한 방도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업계에서는 미국의 무역제재 강화가 현지 투자업체에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특히 ‘무역확장법 232조’를 내세운 미국 정부가 국내 다른 철강제품으로 무역제재를 확산시키려는 방침으로 피해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진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보호무역 제재를 최소화하려면 개별 철강업체들의 노력만으로는 역부족”이라며 “제소 등 정부차원의 지원과 외교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내 철강업계는 미국 상무부가 최근 무역확장법 232조‘를 철강 수입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지난달 24일(현지시간) 개최한 공청회에서 이에 대한 의견을 전달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정부가 국가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할 경우 수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조항이다.
이병배 현대제철 미국법인장은 현대차그룹이 현대·기아차 미국 공장 등에 2021년까지 31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점을 언급했다. 그는 “이 같은 투자 계획은 현대제철과 미국 업체로부터 냉연 강판을 구매한다는 가정으로 마련된 것”이라며 “현지 조달만으로는 고품질 냉연 강판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OCC 측도 포스코로부터 수입해온 원자재인 석도용 원판 공급을 경쟁사인 아르셀로미탈로부터 조달해야 해 경쟁력이 하락한 상황이며 반덤핑 조치로 공장 가동률이 떨어져 피해가 발생했다고 호소한 바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