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류협력국장 역임한 관료 출신…부처 내 '정책통'으로 꼽혀
남북관계 복원 등 새 정부 정책기조 뒷받침할 적임자 평가
교류협력국장 역임한 관료 출신…부처 내 '정책통'으로 꼽혀
남북관계 복원 등 새 정부 정책기조 뒷받침할 적임자 평가
문재인 정부 초대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60)이 발탁됐다.
조 후보자는 통일부에서 교류협력국장과 개성공단사업지원단장 등을 역임하는 등 남북교류와 협상 분야에서 풍부한 실전 경험을 가진 대표적인 '정책통'으로 평가 받고 있다.
남북회담과 대북전략에 정통한 관료 출신으로, 새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문제 현안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인선 배경으로 꼽힌다.
1957년 경기 의정부에서 태어난 조 후보자는 동성고, 성균관대 통계학과를 졸업한 뒤 행정고시 23회로 국세청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1984년에 통일부로 자리를 옮겨 교류협력국장, 경수로기획단 정책조정부장, 개성공단사업지원단장 등 요직을 거쳤다.
특히 그는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으로 일하면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에 배석해 회담 내용을 정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지난 2012년 대선을 앞두고 회의록이 공개됐을 때 당시의 관련 자료를 폐기했다는 혐의 등으로 법정에 서기도 했다.
이후 정권이 바뀐 뒤에는 퇴임해 10년 가까이 야인으로 생활해왔다.
청와대가 앞서 지난달 31일 관료 출신 남북대화 전문가인 천해성 통일부 차관을 임명한 데 이어 조 후보자를 통일부 장관으로 발탁한 것은 '남북관계 복원 및 개선'이라는 새 정부의 정책 기조를 뒷받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초 통일부 장관 후보로 현역 국회의원들이 거론되기도 했으나, 강화된 인사 검증 과정에서 배제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조 후보자 임명과 관련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새 정부의 남북관계 기본방향 정립 등 통일부의 주요 과제들을 유능하게 추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경기 의정부 △동성고 △성균관대 통계학과 △서울대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행시 23회 △통일부 교류협력국장 △통일부 경수로기획단 정책조정부장 △통일부 개성공단사업지원단장 △대통령비서실 통일외교안보정책비서관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