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인사청문 시즌3 시작...여야 대치 속 화력 거세지나


입력 2017.06.26 00:01 수정 2017.06.25 22:20        조정한 기자

김상곤, 조대엽, 송영무 후보자 송곳 검증 예고

야당 의원들 사퇴 촉구에 재지명 요구까지

여야는 26일부터 실시될 인사청문회로 또 다시 대립각을 세울 전망이다. 문재인 정부의 후보자 임명 강행에 반발한 야당은 남은 후보자에 대해서 그 어느 때보다 날카로운 송곳 검증을 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사진)ⓒ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여야는 26일부터 실시될 인사청문회로 또 다시 대립각을 세울 전망이다. 문재인 정부의 후보자 임명 강행에 반발한 야당은 남은 후보자에 대해서 그 어느 때보다 날카로운 송곳 검증을 예고하고 있다.

국회에선 26일 한승희 국세청장을 시작으로 28일에는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 송영무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를 실시하고 29일에는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조명균 통일부 장관 후보자의 청문회, 30일엔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를 연다.

야권은 특히 김상곤, 조대엽, 송영무 후보자 검증에 화력을 쏟고 있다. 여기에 인사청문회 시작 전부터 해당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일단 김 후보자는 Δ논문표절 Δ한신대 교수 시절 주한미군 철수와 한미동맹 폐기 주장 의혹 등을 받고 있다. 송 후보자는 Δ10억원이 넘는 고액 자문료 수수 Δ해군참모총장 시절 계룡대 납품 비리 사건 수사 중단 지시 의혹 Δ4차례에 달하는 위장전입 의혹 등이 제기된 상황이다. 조 후보자는 Δ음주운전 해명과정에서 대국민 거짓말 Δ임금체불 기업 사외이사 근무 Δ교수시절 부적절한 언행 등이 논란이 되고 있다.

여기에 갈수록 날카로워지는 야권의 검증 태도도 난항을 예고하고 있다. 기존에 제기됐던 의혹뿐 아니라 청문회를 담당하는 야권 상임위원들이 각 후보자의 '도덕성' 검증에도 칼을 갈고 있기 때문이다.

송기석 국민의당 의원은 김 후보자가 자신이 대표로 있던 회사의 고용보험료 체납으로 자택이 압류됐던 것에 이어 주정차 위반 과태로 미납으로 승용차도 압류당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송 의원실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2005~2012년 서초구, 강남구에서만 주정차 위반으로 5번 적발돼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그중 2006년 4월 위반건에 대한 과태료는 김 후보자가 1년 6개월가량 지난 뒤에 범칙금을 납부해 준법 의식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여야는 26일부터 실시될 인사청문회로 또 다시 대립각을 세울 전망이다. 문재인 정부의 후보자 임명 강행에 반발한 야당은 남은 후보자에 대해서 그 어느 때보다 날카로운 송곳 검증을 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사진)ⓒ데일리안

한편 25일 국회에선 각 상임위원들의 세 후보자에 대한 사퇴 촉구 및 재지명 요구가 잇따랐다.

한국당 소속 국회 국방위원회 간사인 김학용 의원은 송 후보자 사퇴를 촉구하며 Δ10억원이 넘는 고액 자문료 수수와 전관예우 의혹 Δ해군참모총장 시절 계룡대 납품 비리 사건 수사 중단 지시 의혹 Δ천안함 폭침 당시 말 바꾸기 논란 등을 이유로 꼽았고 "현실적으로 중요한 자료들은 거의 요청을 해도 나오지 않는다"며 고충을 토로하기도 했다.

같은 당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 임이자 의원은 조 후보자를 향해 "음주운전 전력과 한국여론방송 사외이사 등재만으로도 스스로 사퇴해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고용노동부는 산업현장의 법위반 감독기관으로서 그 수장의 준법정신은 매우 중요한 자격요건"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 염동렬 의원은 김 후보자에 대해서도 김 후보자의 좌편향 논란과 뇌물, 논문표절 등을 꼽으며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한편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24일 구두논평을 통해 "민주당은 청문회를 충실하게 치르자는 입장으로 후보자들에 대해 제기된 의혹들은 청문회 과정에서 충분히 해명될 수 있을 것"이라며 "충실하게 치르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조정한 기자 (impactist9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정한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