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국민의당, '제보조작' 위기 모면할 방어막으로 추경안 활용?


입력 2017.07.01 00:28 수정 2017.07.01 06:16        한장희 기자

추경안 심사 다시 거부하자 민주당 공세수위 낮춰

검찰수사 다가오고 있어 국민의당 위기감은 진행형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국민의당 지도부가 침통한 표정을 짓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1일 당의 존폐 위기까지 내몰린 국민의당이 출구전략을 모색하는 분위기다.

국민의당이 지난 대선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 준용 씨가 채용 특혜를 받았다는 제보 내용을 조작한 사실 밝혀지면서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웠다.

국민의당은 이에 평당원인 이유미 씨의 단독범행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이 씨가 검찰조사에 임하기 전 지인들에게 윗선 개입을 암시하는 메시지를 보내면서 배후에 조직적인 움직임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추가로 제기되고 있는 상태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 문준용 씨의 취업 특혜 의혹에 대한 제보를 조작한 혐의를 받고 있는 국민의당 이유미 당원이 지난 29일 오전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영장실질심사(구속전피의자심문)에 출석하고 있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국민의당은 이씨의 단독범행이라고 계속해서 선을 긋고 있다. 심지어 "당의 조직적 개입이 확인될 경우 당을 해체하겠다"며 초강수로 의혹 확산 차단에 안간힘을 썼지만 여의치 않은 모습이다.

의혹의 꼬리는 19대 대선 당시 국민의당 후보였던 안철수 전 대표와 당 대표를 맡았던 박지원 전 대표 등 지도부로까지 번지고 있는 양상이다. 여기에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나서서 "국민의당 지도부가 총동원되어 조직적으로 개입한 것"이라며 기름을 부었다.

이에 국민의당도 발끈했다. 박주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회의에서 “민주당은 이유미 씨 사건을 빌미로 국민의당 죽이기에 나선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며 “이 기회에 국민의당을 짓밟고 인위적 정계개편을 통해 여소야대 정국을 타파하고 패권적 양당제로 회귀하려는 정치음모를 드러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힐난했다.

이런 와중에 국민의당은 추경예산안 카드를 꺼내 흔들며 민주당의 공세에 맞서고 있다. 현 시점에서 민주당이 가장 아파할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여야 교섭단체 4당 원내대표들이 지난 27일 오후 국회에서 인사청문제도개선 소위원회 설치, 정부조직법 상정, 상임위별 각 부처 업무보고, 특별위원회 활동기간 연장 등 국회 정상회의 내용이 담긴 합의문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 왼쪽부터 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 자유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 (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지난 27일 4당 원내대표가 국회 정상화에 합의할 당시 자유한국당만 추경안 심사에 반대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추경안 심사에 참여하겠다고 구두로 합의하면서 문 대통령의 시정연설 이후에도 꽉 막혀 있던 추경안에 숨통이 트이는 듯했다.

그러나 ‘제보조작’사건이 확대되면서 국민의당이 당초 합의와는 달리 추경안 심사에 협조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전날 오전 추경안 심사를 위해 열릴 예정이었던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전체회의는 무산됐다.

지난 29일 정무위원회 전체회의도 야당의 불참 속에 12분 만에 산회했다. 법제사법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도 무산됐다.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는 추경안 심사 협조를 부탁하려 정무위·미방위 회의장을 찾았으나 발걸음을 돌렸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지난 2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는 모습. (자료사진)ⓒ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상황이 이렇게 되자 민주당 내부도 대응책 마련에 고심 중인 분위기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국민의당이 제보 조작 사건으로 인해 당장 추경안 심사에 착수할 여력이 안 되는 것 같다”며 “국민의당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한 내부적인 고민이 많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민의당이 입장을 워낙 여러 번 바꿔 황당하다”면서도 “국민의당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이번 사건에 대해 검찰의 공정하고 엄정한 수사를 촉구하는 정도로 비판 수위를 낮추는 등 전략을 새로 짜야 한다는 내부 목소리가 많다”고 귀띔했다.

국민의당이 꺼낸 추경안 카드가 민주당의 공세를 약화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효험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제보조작’사건을 완전히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며, 검찰의 수사망이 점차 핵심 관계자로 향하고 있어 국민의당의 위기감은 당분간 진행형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장희 기자 (jhyk77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한장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