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벼랑 끝 몰린 프랜차이즈 “갑질 프레임에 정상적인 관리도 어렵다”


입력 2017.09.27 06:00 수정 2017.09.27 05:50        최승근 기자

정상적인 본부 업무도 중단…브랜드 이미지 유지 어려워

프랜차이즈업 부정 여론 타고 떳따방식 영업하는 기획 프랜차이즈 난립

제40회 부산 프랜차이즈산업박람회에서 창업 상담을 받고 있는 예비 창업자들ⓒ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최근 일부 프랜차이즈 오너의 갑질 논란과 더불어 가맹본부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프랜차이즈 본부의 속앓이가 깊어지고 있다. 특히 일부 업체의 갑질 논란이 사회적 문제로 확산되면서 프랜차이즈 산업 전반에 대한 여론이 비판적인 점도 가맹본부의 고충을 더하고 있다.

지난 22일 바른정당 가맹점 갑질 근절 특별위원회가 개최한 ‘가맹점 갑질 근절을 위한 2차 정책간담회’에서 이규석 일승식품 대표는 “가맹점주들의 권리가 강화되면서 본부의 정상적인 관리 행위조차도 가맹점에 대한 간섭이나 갑질로 제보돼 관리를 전혀 못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프랜차이즈 브랜드 및 서비스,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가맹점을 관리하는 것은 가맹본부의 정당한 행위임에도 갑질 프레임을 씌워 관리를 거부하는 가맹점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통행세 논란이 불거진 필수품목이 대표적이다. 외식 프랜차이즈의 경우 전 점포의 일정한 맛을 유지하기 위해 본부가 같은 재료를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일부 가맹점주의 경우 이를 거부하고 더 싼 제품을 찾아 브랜드 이미지를 훼손하는 사례도 있다는 게 본부 측의 설명이다.

이 경우 가맹본부 측은 계약서를 근거로 시정할 것을 요구하지만 일부 점주들은 가맹점에 대한 과도한 간섭 또는 갑질 프레임을 씌워 오히려 본부를 압박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투 브랜드 론칭이나 수익성 프랜차이즈를 노린 일부 투자자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포털사이트 홍보 등을 통해 가맹비, 교육비, 로열티 등 3무정책을 앞세워 가맹계약을 유도하고, 창업 후 관리에 신경을 쓰지 않아 가맹점이 줄도산 하는 이른바 기획형 프랜차이즈에 대한 경계도 높아지고 있다.

초밥 프랜차이즈를 운영하고 있는 이정훈 일성코퍼레이션 대표는 “기획형 프랜차이즈의 경우 컨설턴트 회사로 포장하지만 컨설턴드 한명 당 2~3개 많게는 수십개 브랜드의 영업대행을 하고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며 “일부 사업자는 모방 브랜드 론칭 후 간판갈이 형식으로 가맹본부를 설립하는 등 검증되지 않은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난립하는 게 현 주소”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또 “필수품목에 대한 정보공개는 업종별 특수성을 고려해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며 “정보공개가 강화되려면 한국형 로열티부터 선행돼야 한다. 자체 사전조사에서는 로열티를 세금처럼 생각한다는 인식이 많다. 인식부터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업계 일각에서는 프랜차이즈 가맹점 협회를 설립해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 소통의 폭을 넓혀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또 을의 눈물뿐만 아니라 갑의 눈물에도 관심을 가져달라는 주장도 있다.

중견 프랜차이즈 A사 대표는 “내수 침체와 각종 규제 그리고 프랜차이즈업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으로 본사 직원 해고를 걱정해야 할 상황”이라며 “올바르게 사업을 하는 본부도 많은데 모두 범죄 집단으로 몰리는 거 같아 억울한 측면이 있다. 일자리 창출 등 순기능에 대한 고려도 함께 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