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가구당 보험가입률 97%…전년比 0.7%P↑
개인별 가입률도 올라…생명보험 중심으로 상승세
실손보험 가입률·가입의향↑…보험료 부담은 낮아져
우리나라 가구당·개인별 보험가입률이 생명보험을 중심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손의료보험의 경우 가입률과 가입 의향 응답 비율이 모두 상승했고 보험료 부담감은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보험연구원은 2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7년 보험소비자 설문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손해보험보다 생명보험의 가구당 가입률이 낮았지만 상승세는 더 컸다. 올해 전체 가구당 보험가입률은 97.0%로 전년 대비 0.7%포인트 상승했다. 생명보험의 경우 3.1%포인트 오른 84.9%였고, 손해보험은 0.6%포인트 상승한 89.5%를 기록했다.
개인별 보험가입률 역시 같은 기간 대비 0.7%포인트 상승한 94.5%로 조사됐고, 손해보험보다 생명보험 개인별 보험가입률의 상승폭이 컸다. 생명보험은 78.2%로 4.8%포인트 올랐고, 손해보험은 78.4%로 2.2%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1년 동안 실손보험에 가입돼 있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조사대상자의 77.8%로 지난해 68.3%보다 9.5%포인트 상승했다. 미가입자를 대상으로 향후 실손보험 가입 의향을 질문한 결과,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42.8%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40.3%보다 2.5%포인트 오른 수치다.
생활습관개선을 위해 보험사가 상담이나 문자알림, 개인용 건강관리기기 이용 서비스 등 생활습관 개선 도움과 자율적 개선 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면 실천할 계획이 있는지 살펴 본 결과에서는 그럴 계획이 있다는 응답이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생활습관 변화를 위해 금연이나 운동, 식단관리, 스트레스관리, 금주 혹은 절주, 비만관리 등의 계획이 있는지를 설문한 결과 모두 6개월 이내에는 없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도움이나 인센티브가 제공될 경우에도 6개월 이내에는 없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평균 18.4%포인트 하락하며 상당히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연금에 가입하고 있다는 응답 비중은 28.7%에 그쳤고 개인연금 가입에 만족한다는 응답 비중은 69.6% 수준이었다. 불만족이라고 응답한 이유의 52.6%는 낮은 수익률을 꼽았다. 향후 개인연금 가입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는 23.6%가 있다고 대답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보험연구원이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제주를 제외한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22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최대 허용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9%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