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문 대통령, 높아진 검증문턱에 정무수석 인선 '장고'


입력 2017.11.28 04:13 수정 2017.11.28 06:08        이충재 기자

감사원장 지명 감감무소식…눈높이 인사 못찾아 고심

'7대 기준' 제시에 까다로워져…일부 후보자들 고사

문재인 대통령이 공석인 정무수석 인선을 두고 장고에 들어갔다.(자료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정무수석 인선을 두고 장고(長考)에 들어갔다. 롯데홈쇼핑 재승인 로비 연루 의혹을 받고 있는 전병헌 전 수석이 사의를 밝힌 지 열흘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적임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당초 우선순위에 올랐던 인사들이 잇따라 고사의 뜻을 밝힌데다 최근 내놓은 '7대 인사 기준'으로 검증 문턱도 높아져 문 대통령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일부 후보자들 고사…'급하다고 바늘허리에 실 매어쓰랴'

문 대통령은 27일 하루 연차휴가를 내고 인사 문제를 비롯한 국정 구상을 가다듬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 입장에선 아직까지 '인사 후폭풍'이 가라앉지 않은 상태라는 점에서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정무수석의 경우 인사청문회나 국회의 동의가 필요 없는 인사지만, 대(對)국회 관계에 밀리지 않는 '정무감각'과 함께 청와대 내 선임 수석비서관이라는 무게감도 필요한 자리다. '문 대통령과 가장 많이 독대하는 참모'이기도 하다.

당초 진성준 정무기획비서관이나 한병도 정무비서관 등의 내부 승진 가능성이 유력하게 거론됐으나 다시 외부 인사로 풀을 넓힌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급하다고 바늘허리에 실을 매어 쓸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정무수석을 장기간 비워두기엔 시급한 현안이 적지 않은 만큼 이르면 주중 인사가 발표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감사원장 인선은 감감무소식…7대 기준' 제시로 검증 까다로워져

이와 함께 내달 1일 임기가 마무리되는 황찬현 감사원장의 후임 인선도 속도를 내야하는 상황이다. 국회 인사청문회 대상인 감사원장의 경우 '7대 인사 기준'이 처음으로 적용되는 인사라는 점에서 부담이 작지 않다.

청와대 내에는 인사 공백 상태를 감수하더라도 어느 때보다도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야 한다는 분위기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인사에 시간이 그렇게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계속 보고 있으니 기다려보라"고만 했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