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44% 채용계획 미정…12% 채용 안하거나 축소"
한경연, '2018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 조사
회사 상황 어려움, 국내외 경제 악화 이유 제시
한경연, '2018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 조사
회사 상황 어려움, 국내외 경제 악화 이유 제시
대기업들의 10곳 중 4곳은 아직 올해 상반기 채용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2%는 지난해보다 채용규모를 줄이거나 한명도 뽑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 대상으로 ‘2018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182개사 중 올해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기업은 44%(80개사)로 나타나 전년동기(37%·74개사)보다 7%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신규채용을 작년보다 늘리겠다는 기업은 8.8%(16개사)로 지난해 11%(22개사)보다도 2.2%포인트 감소했다. 올해 작년 상반기보다 채용을 줄이는 곳은 9.3%(17개사), 신규채용이 없는 곳은 2.7%(5개사)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대졸 신규채용을 늘리지 못하는 이유는 제도적 변화보다는 회사 내부상황과 외부 경기상황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 내부 상황 어려움(25.9%)'을 이유로 든 기업들이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국내외 경제 및 업종 상황 악화’(20.0%) ▲신입사원 조기퇴사·이직 등의 인력유출 감소(15.8%) ▲통상임금·최저임금 인상 등 인건비 부담 증가’(14.2%) ▲60세 정년의무화로 정년퇴직자 감소’(8.3%)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올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인원 중 이공계 선발 비중은 평균 55.3%, 여성 비중은 평균 28.6%로 나타나 올해 상반기 취업시장에서도 ‘이공계․남성’ 선호가 여전할 전망이다. 지난해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인원 중 이공계 비중은 54.4%, 여성 비중은 26.2%였다.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적인 연봉은 4017만원(월 335만원)으로 조사됐다. 응답 구간별로는 ‘3500만~4000만원’이 34.1%로 가장 많았고 ▲4000만~4500만원(25.3%) ▲3000만~3500만원(17.6%)▲4500만~5000만원(11.0%) ▲5000만~5500만원(4.9%) ▲5500만~6000만원(2.2%) ▲2500만~3000만원(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졸 신규채용시 블라인드 인터뷰 또는 블라인드 채용 도입 여부에 대해 34.6%(63개사)는 이미 도입했다고 답했고 18.1%(33개사)는 향후 도입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한경연이 지난해 하반기에 실시한 같은 조사에서는 응답기업 24.9%가 블라인드 채용을 이미 도입했다고 답해 9.7%포인트가 증가했다.
블라인드 인터뷰·채용을 도입한 63개사 중 36.5%(23개사)는 서류제출에서 최종면접까지 모든 채용과정을 블라인드 채용으로 뽑는다고 답했고 63.5%(40개사)는 부분적으로 도입했다고 응답했다.
부분적으로 블라인드 인터뷰·채용을 도입한 기업(중복응답)들은 실무면접·토론(80.0%), 서류전형(27.5%), 임원면접(5.0%) 등의 순으로 채용전형에 블라인드 방식을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블라인드 채용 기대효과(중복응답)에 대해 기업들은 자기소개서·면접답변에 집중(71.4%), 공평한 취업기회를 제공(68.7%), 스펙위주 채용관행에서 직무·능력중심의 채용방식으로 변화(52.7%) 등 긍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응답기업들은 대졸 신규채용을 늘리기 위해서 정부와 국회가 중점 추진해야 할 사항(중복응답)으로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환경조성(63.2%) ▲고용증가 기업에 세제혜택 등의 인센티브 강화(47.8%) ▲규제완화를 통해 기업투자 활성화 유도(42.9%) ▲법정 최대근로시간 단축으로 추가 고용 유도(20.9%) ▲공공부문 중심의 일자리 확대(12.1%) 등의 순으로 답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이번 조사결과에 대해 “결국 일자리는 기업들이 만들어내는 것이므로 기업들의 활발한 경영활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구직자들은 최근 기업들이 블라인드 채용을 확대하고 있으므로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방식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