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北 최고인민회의 개최…정부, 김정은 참석·정책방향 주목


입력 2018.04.11 12:10 수정 2018.04.11 13:08        박진여 기자

남북·북미회담 논의결과 예의주시

북한이 남북·북미 연쇄 정상회담을 앞두고 최고인민회의를 소집하면서 핵 문제나 한반도 정세 관련 메시지가 나올지 주목된다. ⓒ데일리안

정치국회의→최고인민회의…정상회담 대응방향 주목
통일부 “군대 가기 싫어요 ” 논란...“세밀하지 못했다”


북한이 11일 최고인민회의 제13기 6차회의를 평양에서 개최한 가운데,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석 여부와 향후 정책방향이 주목된다.

통일부는 이날 북한의 최고인민회의 개최와 관련 남북·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논의 결과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노동당 중앙위 정치국 회의를 했다는 보도가 있었고 거기에서 남북정상회담이라든지 북미회담에 대한 그런 논의결과를 저희가 보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의 국회 격에 해당하는 최고인민회의는 북한 헌법상 국가 최고 지도기관으로 전년도 결산과 평가, 예산 승인, 조직 및 인사 문제 등을 다룬다. 북한은 매년 4월에 최고인민회의를 열고 통상적인 안건 처리를 비롯해 대외정책과 관련한 주요한 결정 등을 해왔다.

주목할 점은 북한이 최고인민회의에 앞서 노동당 정치국회의를 열고, 남북정상회담을 비롯한 한반도 정세를 논의한 점이다. 노동당 중앙위 정치국 회의는 북한 최고 결정기구로 통한다. 여기서 김 위원장이 남북·북미정상회담을 언급하면서 대남·대미 전략을 제시한 셈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앞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회의를 열고 남북관계와 북미대화 전망 등 향후 대응방향을 제시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김 위원장의 참석 여부도 주목된다. 백 대변인은 "김정은 위원장이 지금까지 총 8회 중에서 6번을 참석했는데 (김 위원장의) 참석 여부 및 논의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주시해보겠다"고 전했다.

남북 정상회담이 보름여, 북미 정상회담이 50여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관계발전과 비핵화 문제에 대한 김 위원장의 대응방향이 나올 수 있어 주목된다.

한편, 통일부가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실시한 페이스북 이벤트에서 '남북 정상에 바라는 말'에 "군대 가기 싫어요"를 예시로 제시하면서 논란이 빚어졌다.

백 대변인은 "국민의 자연스러운 의견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조금 세밀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고 입장을 밝혔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